Satyricon – S/T (Nuclear Blast/Roadrunner/Indie Recordings, 2013)

Satyricon – S/T (Nuclear Blast/Roadrunner/Indie Recordings, 2013)

심포닉 블랙메탈의 대명사가 어쩌고 저쩌고는 나답게 집어 치우겠다. Satyricon 의 파격적이고 논란적인 음악적 행보에 전혀 어울리지 않는 이야기니까 말이다. 중요한것은 Satyricon 이라는 밴드는 “블랙메탈의 변화상 중에서도 가장 충격적이고 파격적이면서 논란어린 변화를 먼저 시도 했으며, 지금도 행하고 있으며, 놀라운 설득력으로 귀결 시키는 재주가 있는 비범한 밴드” 라는 점이 중요하다. 그것도 14년째요, 6장째다. 게다가 말로 간단하게 설명하기에는 꽤나 힘든 강력한 독창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도 있다. 여기에 블랙메탈이라는 장르가 메이저 레이블과 계약했던 첫 사례, 대중 음악의 영역으로 침투한 첫 사례, 대중 음악 시상식까지 침투한 첫 사례, 락스타적인 위치까지 나아간 몇 안되는 밴드, 그럼에도 불구하고 음악/애티투드/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매니징을 가장 잘 한 밴드까지 더해지면 이야기는 끝이다. 이들은 그저 “인기 블랙메탈 밴드” 가 아닌, “심층 연구대상적인 돌연변이 메탈러” 그 자체인 것이다. 칭찬은 여기까지. 중요한 것은 그것이 아니다. 파격적인 변화의 강도를 멈추지 않는 모습을 또 한번 보여주는 2013년 신작이자, 통산 8번째 앨범인 Satyricon 이 더 중요하다. 왜냐면 파격적인 변화가 또 한번 일어나기 때문이다.

Rebel Extravaganza (1999) 부터 The Age Of Nero (2008) 사이의 4장의 앨범을 주의깊게 살펴 본다면 다들 알 만한 앨범이 본작일 것이다. 사운드적인 변화가 있되, 변화상의 기준이 되는 뼈대는 그대로라는 것 말이다. 지저분한 하울링 톤을 깔끔하고 텁텁한 기계적인 느낌으로 바꾸고, 블랙메탈 특유의 리프/비트의 블리자드를 미니멀한 느낌의 클래식 메탈 리듬과 멜로디 라인 구축으로, 심포닉 블랙 특유의 클래식 음악적 요소보다는 현대 포스트라는 단어가 어울리는 메탈-펑크-하드코어적인 엑스페리멘탈리즘 탐구로 변화하며 만들어 내던 “Satyricon 만의 파격적인 변화상” 과 “의도적인 블랙메탈 오리지널리티 부정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만들어지는 블랙메탈적 사악함의 캐릭터성” 의 공존 말이다. Rebel Extravaganza (1999) 는 예전의 전통을 많이 살려두는 쪽으로의 변화를, Volcano (2002) 에서는 파격적인 강도를 강하게, Now, Diabolical (2006) 에서는 더욱 더 매끈하게 다듬는 가운데 캐치한 코드로, The Age Of Nero (2008) 에서는 좀 더 로우한 코드로 변화를 해왔다. 2013년 셀프 타이틀 앨범에서는 Now, Diabolical 에서의 매끈한 부분 & 탈-블랙메탈적 코드를 매우 강하게 올린, Satyricon 의 블랙메탈 오리지널티 탈피에서 가장 논란적 요소가 강한 앨범이다.

지금까지의 앨범들이 “그래도 블랙메탈” 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밖에 없는 오컬트-언홀리-사타닉적 캐릭터성을 충분히 쥐어 짜 냈다면, 그것에서 얼마나 멀어지면서도 지금까지의 행보와 이어져 나가는지에 대한 자기 자신에 대한 가혹한 도전 그 자체다. 지금까지의 앨범이 “그래도 블랙메탈” 이었다면, 신작은 고딕 메탈-엑스페리멘탈 메탈-고전 프로그레시브 락에 가깝다. 리프는 나름 다이내믹하지만, 모던한 시절의 Satyricon 의 그것보다도 매우 약하기에 더욱 더 엑스페리멘탈-프록메탈로 들릴 지경. 제법 보컬조차 으르렁 거리는 블랙메탈적 보이스가 아닌, 5-60년대 프록적인 중저음 보이스를 행하고 있기에 더더욱 Satyricon 의 과거와 멀어지고 있다. Satyricon 의 신보라기 보다는 Katatonia, Opeth, Neurosis, Amorphis 쪽에 가까운 앨범이라고나 할까? 여하간 그나마 살아있던 블랙메탈적 요소를 모두 걷어내고, 거기에 Satyricon 에 어울리는 각종 요소들을 자신들의 오리지널리티로 개조 & 재해석하고 배치하고 있다.

이는 용감하게 보인다. 허나 결론을 내리자면 “무모했다” 라고 말해야만 옳다. 모던하게 바뀐 Satyricon 의 장점인 “파격적인 시도를 하더라도 결론은 좋다” 라고 인정 할 수 밖에 없었던 그들만의 강력한 음악적 설득력이 너무나도 현저히 부족하기 때문이다. 방향잡이는 좋았지만, 그것을 꽤 괜찮다는 느낌이 날 때까지 우려 내는데에는 실패했다 라고 단언해야 옳을 정도다. 이는 나름 예견 된 것이 아닌가 싶다. Satyricon 은 Rebel Extravaganza 앨범 시절부터 파격적인 변화를 행할때 어느정도 전작에서 소소하게 연습을 하던 전통이 있었다. 엑스페리멘탈리즘은 분명 전작에서 했었으나, 그것을 기반으로 한 탈-블랙메탈/고전 프록적인 무드잡기는 행하지 않았다. 생뚱맞은 시도는 잘 될리가 없을 확률이 높은 법, 결국 그리 된 듯 하다.

하지만 이 앨범은 묘한 여운을 남기기도 한다. 뒤로 갈수록 탈-블랙메탈적 색채가 적어지고, 블랙메탈적 특징이 늘어나 이 앨범 특유의 괴상한(?) 무드잡기에 의외로 어우려지며 꽤 괜찮지 않나 하는 곡들이 좀 포진되어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앨범 특유의 탈-블랙메탈 & 엑스페리멘탈리즘 강화로의 매력구축 실패라는 큰 축을 뒤집진 못한다. 하지만 이러한 애매모호함은 Rebel Extravaganza 에서도 나타난 바 있다는 점, 그리고 그 앨범이 Satyricon 의 전통인 “적당히 실험하고 느낀마를 추스려 다음 앨범에서 일낸다” 를 보여 주었다는 점, 앨범 후반부에 포진 된 곡들이 그럴 가능성이 매우 크게 증폭 시켜 준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음 앨범에 나와봐야 이 앨범에 대한 매우 정당한 평가가 될 것이라는 말을 남기며 이 앨범에 대한 호불호에 대한 토론은 ㅇ이만 접겠다. 그리고 “다음 앨범이 매우 기대된다” 라는 말을 남기고 싶다. 더불어서 이 앨범이 별로일 지언정 밴드에 대한 인상은 나쁘게 변하지 않는다는 점도 말이다. Satyricon 이라는 밴드는 블랙메탈이 가진, 다이하드 메탈이 가진 가장 나쁜점인 “지나친 스테레오타입화” 에 대해 가장 뛰어난 결론을 내려준 밴드이며, 지금까지의 행보도 인상 깊었는데 또 한번 그것을 갱신 하려는 도전을 용맹하게 또 한번 행하려 하기 때문이다. 블랙메탈러들은 꽤나 많이 “외세 세력 기독교에 굴하지 않으면, 죽더라도 나 자신이 왕이 된다” 를 강조한다. 진정한 의미의 왕이 이들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 정도다. 이 앨범은 왕이 아니다, 허나 Satyricon 이라는 밴드를 평가하는데 있어서는 왕중왕이 되는데 있어 플러스 요인으로 충분한 역활이 된다. 일단 새 앨범의 성과는 그것으로 해 두자. 다음을 기대하자.

- Mike Villain


Phon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