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llainsSeries #26] Nu-Metal Redux Trilogy (1부 : Nu-Metal 의 역사와 의의)

[VillainsSeries #26] Nu-Metal Redux Trilogy (1부 : Nu-Metal 의 역사와 의의)

1. Nu-Metal 은 90년대 중반에 등장, 현재까지 나름 명백을 이어가고 있는 장르. “메탈” 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만큼 헤비하지만, 이 장르의 등장 시기 이전에 있었던 블루스-하드락-헤비메탈-스피드/쓰래쉬 메탈과 같은 계보를 전혀 이어가지 않는 것이 큰 특징이다. 뉴메탈의 근간이 되는것은 얼터너티브, 랩/힙합, 일렉트로닉스/인더스트리얼, 훵크, 레게 등 광범위한 장르들이다. 앞서 열거한 장르/스타일 마저도 확실히 계승하는 이미지는 거의 없는 편이다. “다양한 장르들의 헤비-믹스쳐 뮤직” 이라고 표현하는게 더욱 어울리는 모습. 혹은 Korn 같이 다양한 장르/스타일을 근간으로 하되, 자신들만의 완벽한 오리지널을 만들어 내는 경우가 있다.

2. 90년대 초반까지 긴 역사와 전통, 높은 판매고를 가지고 기세등등 했던 헤비메탈이 Nirvnana 를 위시로 한 얼터너티브 락에 의해 메이저 필드에서 밀려나게 되고 새로운 메인스트림 락 비즈니스의 기준으로 자리잡게 된다. 허나 그 얼터너티브의 음악적/상업적 위상이 시애들 빅4 의 해산과 후발 주자 밴드들들의 우후죽순 등장/별 볼일 없는 밴드들의 퇴출 등으로 생각보다 빠르게 한풀 꺾이게 되기도 한다. 그러한 흐름이 있던 1990년대 중반, 얼터/그런지 스타일에서 꽤 멀었던 몇몇의 새로운 스타일들의 밴드들이 하나 둘 등장하며 서서히 주목받기 시작한다. 그 중 가장 특출난 밴드 둘이 있었으니 캘리포니아 중남부 베이커스 필드 출신의 Korn, 그리고 캘리포니아 중앙 새크라멘토 출신의 Deftones 였다. 그들로 인해 뉴메탈이 시작된다.

vs-nu-01
뉴메탈의 음악적, 애티투드적, 패션 등 거의 모든것을 한번에 정의한 밴드 Korn

3. 데스메탈 보다도 더욱 낮고 헤비한 저음 튜닝, 그 독한 헤비함에 어울릴법한 익스트림 메탈적 스피드의 배제와 미드/슬로우 템포의 그루브, 매우 헤비하기는 하지만 지금까지의 메탈 / 하드코어는 물론이오 얼터너티브와도 전혀 다른 매우 생소한 스타일의 오리지널리티, 종잡을 수 없는 변화무쌍한 곡 흐름과 그에 걸맞는 기괴한 분위기 메이킹, 락 음악을 통한 잘 나가는 청춘을 어필하는 지금까지의 밴드 이미지와는 달리 소심하고 나약하며 소외되고 괴롭힘 당하는 바닥 인생의 질퍽한 정신세계를 포커스로 하고 있다는 점, 지금까지의 락 밴드 이미지와는 전혀 다른 배기팬츠 워크셔츠 아디다스 져지 등 스케이터/비보이 패션을 추구하고 있는 등 A 부터 Z 까지 이 장르/스타일은 새로움과 혁신성으로 가득했다. 이러한 스타일은 새로운 메탈 (New Metal) 이라는 표현을 살짝 뒤틀은 Nu-Metal 이라는 명칭으로 불리워지게 된다.

4. 헤비하지만 메탈이 아닌, 심플한 연주를 추구하지만 펑크/하드코어가 아닌 기괴한 이 장르는 도심 외곽 변두리의 소외된 젊은이들의 새로운 삶을 그린다는 점에서, 그 어떤 헤비 장르들과는 다른 혁신적인 스타일의 헤비니스 사운드를 추구 한다는 점에서 빠르게 “제대로 된 언더그라운드 헤비니스” 사운드로 인정 받았다. 이는 지금 돌이켜보면 참으로 아이러니 한 모습이기도 하다. 현재 뉴메탈의 이미지는 애티투드 없고, 음악성 없고, 그저 상업적 목표달성에만 올인한 한 철 장사 정도이며, 앞으로도 긍정적 측면으로 절대 변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90년대 중반의 뉴메탈은 분명 혁신적인 스타일과 제대로 된 애티투드를 지닌 언더그라운드 음악이자 컬쳐였다. 하지만 사람들의 주목을 받자마자 너무나도 빠르고도 뻔뻔하게 상업적 성공에 과한 포커스를 두었으며, 그로 인해 이 장르에 대한 지나친 비난 폭격이라는 크나 큰 문제가 발생하고 만 것이다. 하지만 이는 자업자득이기도 했다.

5. 뉴메탈은 생각보다 빠르게 상업적 성공을 맛보게 된다. Korn 의 두번째 앨범 Life Is Peachy (1996) 이 발매 첫주에 3위로 데뷔하고 (그 전에 셀프타이틀 데뷔작이 고작 빌보드 앨범차트 72위까지 밖에 오르지 못했지만 Life Is Peachy 가 발매되기 전까지 앨범차트 200위 언저리 하위권에서 계속 머물면서 만만찮은 판매고를 올렸다는 점도 빠트릴 수 없다), Marilyn Manson 의 두번째 앨범 Antichrist Superstar (1996) 가 3위, Limp Bizkit 의 두번째 앨범 Significant Other (1999) 가 1위, Deftones 의 3번쨰 앨범 White Pony (2002) 가 3위를 기록하는 등 굉장한 차트 성적을 자랑하며 단숨에 메인스트림 락 음악의 대세로 자리를 잡게 된다. 데뷔작이 그렇게까지 높은 차트 순위를 기록치 않았지만, 2번째 앨범이 나왔다 하면 1위를 노리는 장면이 나와 버렸는데 이는 꽤나 충격적인 사건이기도 했다. 상업적으로 강한 포커스를 두었던 장르이자 오버나잇 센세이션의 대명사였던 헤어메탈/글램메탈 보다도 더 빠르고 더 큰 모습으로 성공을 거두었기에 그러했다. 하지만 거기까지였다. 뉴메탈은 빠르게 대세로 인정 받았지만, 그와 동시에 급격한 음악적 타락과 그로 인한 빠른 상업적 가치 저하를 겪으며 단숨에 무너지게 된다.

vs-nu-02
신보 발매 첫주 빌보드 앨범차트 1위 등극에 빛나는, 뉴메탈 황금기의 상징 Limp Bizkit

6. Korn, Deftones 등과 같은 파이오니어 밴드들의 2-3번째 앨범들이 엄청난 판매고를 올리자, 메이저 레이블들은 돈이 되겠어 싶어 이러한 사운드를 하는 밴드들에게 마구 계약서를 던지면서 메이저 무대에 퍼올린다. 실력 검증을 하지 않은채로 말이다. 하지만 이미 돈이 벌리는 판이 제대로 만들어 진 상황이기에 & 메이저 레이블들의 미리 짜 둔 성공 플랜 덕택에 수많은 밴드들이 메이저에 등장 하자마자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면서 뉴메탈은 겉잡을 수 없을 정도로 그 가치가 망가지기 시작한다. 도심 변두리의 소외받고 괴롭힘 당하는 이들의 새로운 스타일의 분노 표출이었던 뉴메탈은 더 이상 없었다. 메이저 레이블들의 철저한 성공 계획속에 만들어진 뻔하디 뻔한, 음악적으로도 애티투드적으로도 가치가 없는, 그저 돈이 벌리고, 그걸로 멋진 옷 입고 멋진 자동차 타고 여자 후리고 마약이나 하는 치졸한 락스타 놀음만이 남아 버리게 된다. 그렇게 뉴메탈은 새로운 언더그라운드 컬쳐에서, 언더그라운드 컬쳐의 일원들이 가장 혐오하는 “있는 척 하는 가짜놈들” 로 그 의미가 퇴색되고 만다. 현재 “뉴메탈” 이라는 단어를 듣거나, 보거나 하자마자 조건 반사적으로 튀어 나오는 눈쌀 찌푸려짐은 바로 이 시기에 비롯 된 것이다. 그리고 그 이미지는 안타깝게도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기도 하다.

7. 아이러니컬 하게도 뉴메탈은 초창기인 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메탈, 펑크/하드코어 측과 교류하며 인정을 받은 과거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 점을 절대로 간과하고 그저 무조건적으로 “뉴메탈 = 쓰레기” 로 생각하면 안된다. Korn, Deftones 와 같은 초창기 밴드들은 Sick Of It All, Pantera, Biohazard 등 나름 사운드적 요소가 맞는 밴드들과의 공연/투어를 은근 적잖케 진행 한 바 있고, 나름 펑크 및 메탈씬과의 교류가 있었기도 했다. 펑크/하드코어, 메탈 팬들 역시 모두가 좋아하지는 않았지만, 어느 정도 인정을 해 주는 분위기 였기도 했다. 이유는 확실했다. 펑크, 하드코어, 메탈과 같은 도심 변두리 젊은이들의 분노적 정서의 거친 사운드로의 표출이라는 아이덴티티가 어느정도 이해 관계속에 맞물려 돌아갔기 때문이다. 하드코어쪽은 좀 더 뉴메탈 친화적이기도 했다. 90년대 초중반에 들어와 헤비한 기타톤, 슬로우/미드템포의 그루브를 사용하는 새로운 하드코어 사조들이 등장했고 (Deftones 의 스타일 확립에 큰 도움을 준 Quicksand 와 같은 밴드 말이다. 흥미롭게도 Quicksand 의 베이시스트 Sergio Vega 는 현재 Deftones 의 베이시스트로 전격 스카웃 되어 맹활약 중이다.) 이러한 새로운 스타일의 하드코어는 뉴메탈 탄생에 적잖은 아이디어를 준 바 있었다. 그렇게 탄생 된 뉴메탈이라는 장르에 대한 하드코어 펑크씬 베테랑들의 관심 & 그러한 음악을 하드코어적으로 구사하기 위한 밴드 결성이나, 뉴메탈 스타일의 비중을 많이 한 하드코어 밴드들의 결성 or 직종변경 또한 꽤 꽤 많았다. Rage Against The Machine, Orange 9mm, Project 86, P.O.D., Blindside 와 같은 밴드들이 바로 그러한 밴드였다. (이러한 점 때문에 한국에서는 뉴메탈 이라는 장르가 하드코어로 둔갑되어 잘못 유통되게 된다!!! 이를 잘못 유통시킨 음악 평론가들의 죄는 매우 크다!!) 하지만 이러한 교류도 2000년대 들어와 뉴메탈이 급격히 그 이미지가 더러워지며 확실하게 끝나게 된다. 그 뿐만 아니라 뉴메탈은 메탈, 펑크/하드코어 씬으로부터 가짜 헤비니스 음악이라며 쉴 새 없이 비난의 목소리를 듣게 된다. 다들 잘 알다시피 말이다.

vs-nu-03
캘리포니아 하드코어 펑크씬에서 활약한 보컬 Zack de la Rocha 가 모든것을 불태 운 바 있는
Rage Against The Machine

8. 뉴메탈은 메탈씬, 펑크/하드코어씬과 같은 언더그라운드 헤비니스계 로부터 엄청난 비아냥을 들었지만, 대충해도 스타가 될 수 있는 백그라운드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뉴메탈은 그러한 백그라운드 마저 빼앗기며 생각보다 빠르게 쇠퇴하고 만다. 메이저 레이블들의 기획속에 우후죽순 데뷔한 밴드들은 메이저 레이블의 플랜에 잘 따랐을 뿐, 음악적인 자립에 있어서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었다. 음악적 아이덴티티 확립이 거의 되지 않은 상태로 메이저에 올라왔기에 첫 앨범은 그럭저럭 뭘 해도 잘 되는 분위기를 타며 힛트를 했지만, 그 이후의 앨범들 에서는 자신들만의 아이덴티티가 전혀 없기에 모두가 하나같이 실패를 기록하게 된다. 메이저에서의 힛트 이후 낼 새 앨범들의 상황은 하나같이 좋지 못했다. 준비가 전혀 안 되어 딸리는 음악성, 비슷한 밴드의 난립으로 인한 소비자의 식상함과 그로 인한 뉴메탈 기피 풍조 조성, 멜로딕 메탈코어 / 팝-이모/ 메탈릭 하드코어 / 스웨디시 멜로딕 데스 등 혁신적인 음악성을 지닌 메탈과 하드코어씬의 준 메이저급 성공 등 뉴메탈이란 장르가 그 가치를 빠르게 잃어 갈 상황은 속속들히 만들어졌다. 그렇게 뉴메탈은 뒤로 밀려났다. 뉴메탈은 2000년대 피크를 찍고 5년도 안되어 메이저에서 빠르고도 확실하게 축출된다. 그렇게 뉴메탈의 열기는 허무하고도 처참하게 막을 내리게 된다.

9. 하지만 놀랍게도 뉴메탈은 죽지 않았다. 힛트보다 음악적인 아이덴티티 확립을 통한 생존경쟁에 올인한 Deftones, Incubus, Slipknot 같은 밴드들은 건재했다. 그들은 튼실한 음악성으로 인해 뉴메탈 음악 전체의 몰락과 상관없이 좋은 커리어를 이어 나갔다. 여기에 빠르게고도 뻔하게 성공한 밴드들이 뒤늦게 “중요한 것은 음악성” 임을 깨닮으며 늦었지만 확실하게 자신들만의 개성을 확보한 쾌작을 발표하는 의외의 상황이 터지게 된다. 그렇게 뉴메탈은 생존 모드에 제대로 들어가게 된다. 뉴메탈은 더 이상 밀리언 셀러 보증수표는 아니었지만, 극히 좋지 않은 이미지를 가지고도 2000년대를 버틸 수 있을 정도의 음악적 힘을 지닌 장르가 된다.

vs-nu-04
뉴메탈 몰락기에 쾌작 레코드로 부활의 신호탄을 알린 밴드들 중 최고의 밴드 hed(PE)

10. 그리고 뉴메탈은 2010년대 들어와 예상치 못한 부활 혹은 각광을 받게 된다. 2010년대 들어와 Sumerian Records, Rise Records 와 같은 하드코어 레이블에서 “Meshuggah 스타일의 기타 플레이를 중심으로 한 모던 메탈릭 하드코어 사운드” 를 구사하는 신예 밴드들이 등장하고 새로운 대세로 등장한다. 흥미로운 점은 그러한 새로운 모던 하드코어 밴드들이 적잖게 캐치함을 구사하는데 있어서 뉴메탈 그루브를 매우 본격적으로 사용한다는 점이었다. 데스코어와 같은 장르에서도 뉴메탈 그루브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았으며, Linkin Park 와 같은 멜로디컬한 구성 중심의 뉴메탈적 요소를 직접적으로 디깅하는 모던 메탈코어 밴드도 있었다. 그러한 분위기속에 아예 90년대 중반 – 2000년대 초 까지의 뉴메탈 황금기 사운드를 구사하는 밴드까지 등장했다. 이러한 흐름은 2010년대 헤비니스 특징 중 하나라 할 수 있을 정도로 활발하고도 의미있는 흐름이었고, “뉴메탈 리바이블” 이라고 거창하게 콕 집어 말하는 평단 또한 있었다. 그렇게 뉴메탈은 예상치 못하게 젊은 나이의 밴드들의 손에 의해 다시 한번 빛을 발휘하며 2010년에 예상치 못한 건재함을 뽐내는 중이다. 그렇다. 뉴메탈은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확실히 쾌조를 보여주는 장르인 것이다.

vs-nu-05
2010년대 뉴메탈 영 블러드들 중의 최전방 밴드 Issues

11. 여전히 뉴메탈에 대한 인식은 좋지 못하다. 하지만 뉴메탈의 시작은 분명 새로운 음악적 스타일과 확실하게 특정 부류들의 삶과 의식 세계를 반영한 애티투드를 지닌 제대로 된 언더그라운드 헤비니스였다. 연주적 테크니컬함, 정리가 안 될 정도로 너무 많이 사용하는 장르/스타일들, 그에 비해 음악적 깊이의 부족함이라는 단점도 확실하다. 하지만 뛰어난 엔터테인먼트 감각의 헤비-그루브의 마력 또한 아직도 매력적이며, 수많은 메탈 밴드/하드코어 밴드들이 의외로 많이 이용하고 있기도 하다. 과연 이 뉴메탈이라는 장르는 음악적 한계성과 세간의 부정적 이미지를 머금고서 어디까지 갈 수 있을 것인가? 아무도 예상치는 모르겠지만, 이 장르는 사형선고를 받은지 15여년이 넘은 지금까지도 뉴메탈은 나름 건재하다는 점이다. “살아남은 자가 강자다” 라는 매우 설득력 있는 논리에 비춰 본다면, 뉴메탈은 정말 제대로 된 강한 장르가 아닐까? 이 장르/스타일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 해 볼 시간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 Mike Vill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