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llains Series #12] Pop Punk Chronicle Series #06 : 또 한번의 르네상스 – 2000년대 (2편)

[Villains Series #12] Pop Punk Chronicle Series #06 : 또 한번의 르네상스 – 2000년대 (2편)

90년대 중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이뤄진 메이저 팝펑크와 마이너 팝펑크의 양극화는 딱 10년 정도였다. 그렇다. 헤어 메탈도 그랬고, 뉴메탈도 그러했고, 심지어 그런지, 브릿팝도 그러했듯이 메이저 레이블의 상업적 기획은 정확히 10년 주기였고, 팝펑크 역시 그러했다. 2000년대 중반에 이르러 메이저 레이블의 틴팝 팝펑크 스타들은 메이저 레이블들의 기획성과 홍보 서포팅이 더 이상 먹히지 않을때, 음악적으로만 승부를 걸어야 할 시기에 전혀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고 아주 그냥 보란듯이 상업적/음악적으로 추락하게 된다. 그나마 살아남은 밴드조차 팝펑크를 이용하여 신나게 돈과 명성을 얻어 놓고선, 더 이상 팝펑크 밴드가 아니라는 식의 “그냥 메이저 기획 팝 밴드 음악” 으로 급선회하고 이 바닥을 떠나며 반가움과 더한 짜증(?) 을 동시에 생성하기도 했다. 여하간 그렇게 그들은 이슈화의 벽을 넘지 못했다. 나름 자업자득으로 끝난 셈이었다.

마이너씬은 마이너씬대로 문제였다. 2000년대 중반까지 마이너씬을 지켰던 기라성 같은 밴드들도 앨범수가 5-10장 가까이 되면서 음악적으로 더 이상 보여 줄 것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거기에 신진 밴드들의 등장도 지지부진 했다. 8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좋은 페이스를 보여준 밴드들은 너도 나도 할것없이 자신들의 명작 복제 or 추억팔이형 앨범 양산만을 해 대기 시작했다. 팝펑크의 진정한 위기가 도래 한 것이었다. 하지만 그러한 전체적인 씬의 음악적 쇠퇴에도 불구하고, 몇몇 베테랑들은 빠르게 재기형 명작을 내 놓으며 짬밥과 레벨이 남다름을 보여주며 다시금 “팝펑크라는 장르가 꽤나 긴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고, 그러하기에 음악적으로 쉽게 무너지지 않는 장르” 임을 다시금 보여주기도 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깊기도 한 사건이기도 했다는 점도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위기는 오래가지 않았다. 메이저 레이블 스타일으로나, 마이너 레이블 스타일로나 취향적으로 뭐라 그럴 수 있을지언정, 음악적인 부분으로나 아이덴티티적 부분으로나 절대적으로 비난 할 수 없는 영악한 음악성을 지닌 밴드들이 그 위기를 단숨에 메워 버렸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위기를 메꾼 밴드들은 지금까지의 팝펑크 스타일의 고정관념을 훌쩍 뛰어넘는, 그러면서도 전통성을 제대로 가지고 있는 독창성을 크게 가지고 있었다. 특히 팝락, 이모, 인디락/모던락, 하드코어에서 넘어와 팝펑크를 구사 해 내는 하이브리드적인 밴드들이 특히 강세였고, 이는 자연스레 팝펑크를 좀 더 사운드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스펙트럼이 넒은 장르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그러한 밴드들은 메이저/팝펑크의 피크 시기에 결성되어 조용히 음악적 기량을 갈고 닦으며 팝펑크라는 장르에 문제가 생기자마자 튀어 나오며 위기를 극복 해 주었다는 점에서 팝펑크라는 장르가 꽤나 하부 조직이 탄탄한, 남다른 언더그라운드 음악임을 제대로 증명하였기에 이들의 등장은 매우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그리하여 팝펑크는 또 한번의 르네상스를 시작하게 된다. 진정한 의미의 르네상스 말이다. 상업적으로나, 음악적로나, 대중적으로나, 매니악/컬트한 음악다운 아이덴티티적 의미로나 완벽하기에 말이다. 그 시기를 알아 보는데 뭐 별 다른것들 있겠는가? 음반들 살펴보자.

Rise Against – Revolutions per Minute (Fat Wreck Chords, 2003)
20002-18
팝펑크의 (잠깐의) 쇠락 시기에 나타나 이 장르를 구한 동시에, 엄청난 힛트를 기록하며 2000-2010년대 팝펑크씬의 최고의 신진세력으로 자리매김 하는데 성공한 Rise Against 의 두번째 앨범이자 본격적인 상승세를 기록하기 시작한 앨범. 이 앨범은 발표와 동시에 2000년대 펑크 클래식 & 펑크 역사에 길이 남는 한장이 되어 버릴 정도의 엄청난 음악적/사상적 완벽함을 담고 있는 앨범으로도 유명하다. 80년대 하드코어 펑크부터 발전 된 팝펑크 역사와 전통의 완벽한 계승, 좀 더 강한 하드코어 펑크적인 색채의 로우한 매력, 꽤 정통파임에도 불구하고 남다른 센스의 대중적 감각/훅/작곡/연주실력의 남다름, 매우 강력한 정치적 아젠다 보유, 정치적 펑크 특유의 1차원적인 선동적 메시지 제창으로부터의 탈피, 감성적이면서 시적인 깊이의 정치적 이슈 메이킹, 강력한 펑크와 그와 반대되는 대중적/감성적 코드의 결합으로 인한 상승효과 등, 팝펑크 카데고리가 아닌, 펑크 전체의 카데고리의 장점과 문제점 & 그 장르가 가질 수 없고 만들 수 없는 하나의 불가능한 이상론을 성공 시키고야 말았기에 그러하다. 이 앨범의 만만찮은 힛트와 평단의 호평은 밴드를 강제 메이저 데뷔하게 만들었고, 빌보드 앨범차트 2위까지 오르는 초대형 밴드까지 성장하게 된다. 타협적인 면모와 비타합적인 면모의 장점의 극을 보여주는, 펑크의 이상론과 현실론의 모든 장점을 대폭발 시키고야 마는, 경이로운 밴드의 전설의 시작점 되겠다. 팝펑크가 아니라, 펑크에 관심이 있다면 무조건 들어봐야 하는 절대적인 마스터피스라는 말도 남기고 싶다.

Against Me! – New Wave (Sire, 2007)
20002-01
60 포크/컨트리의 어쿠스틱 사운드 & 정치적 관점에 70년대부터 시작되어 격동의 변화를 겪어 온 펑크 아나키즘의 만남이라 할 수 있는 밴드이자, 2000년대 카우펑크의 아이콘인 Agaist Me! 의 통산 4번째 앨범이자 첫번째 메이저 레이블 데뷔작. 이들은 Against Me! 와 더불어 펑크의 이상적인 면모와 현실적인 면모의 장점을 폭발 시키는 범상찮은 밴드로 유명했는데, 메이저 데뷔 소식은 꽤나 화제였었다. 그런데 그보다 더 놀라운것은 바로 이 앨범이었는데, 밴드가 어쿠스틱 음악적인 뿌리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일렉트릭 기타팝적 노선의 펑크를 시도하며 과감한 변신을 시도 한 앨범이라는 점이다. 워낙에 펑크 아나키스트 커뮤니티에서 큰 사랑을 받았던 밴드라 골수론자들의 엄청난 비난이 있었지만, 이 앨범은 좌파/아나키즘 사상의 극단적 표현과 마법적인 대중적 빅힛트 펑크팝 제조라는 두마리의 토끼를 별 문제없이 성공하고야 만다. Bob Dylan + Crass + 2000년대 펑크 스타일의 새로운 사조로의 어레인지를 담은 엄청난 앨범이며, 매우 깊고 날카로운 인텔리적인 정치 아젠다 구축과 대중적 성공이라는 2000년대 폴리티컬 펑크의 쾌거이기도 하다는 점도 중요하다. 또한 이 앨범은 부시 2세 정권을 가장 날카롭게 난도질 한, 그리고 가장 효과적으로(=대중적으로) 알린 앨범으로도 매우 유명하다는 점 역시 중요하다.

Fall Out Boy – Take This To Your Grave (Fueled By Ramen, 2003)
20002-02
90년대 중반부터 극단적으로 벌어진 메이저 팝펑크와 마이너 팝펑크의 이질감은 New Found Glory 와 같은 영악한 밴드들에 의해 다시금 좁혀지기 시작했는데, 그 90년대의 바톤을 이어받은 첫 주자이자 최고의 주자인 Fall Out Boy 의 첫번째 풀렝스이다. 자세하게 말 할 껀덕지가 없는 별반 새롭지는 않은 팝펑크이다. 약간의 10대 감성적 코드가 강조 되었을 뿐이다. 하지만 매우 이상적인 결과물이 폭발하는 앨범으로, 펑크다운 시원시원함, 기타팝적인 뛰어남, 10대적인 재미와 펑크 올드비적인 재미의 다양한 구비, 감성적인 코드의 구비와 펑크적 스트레이트함과의 적절한 조화, 틴팝 스타적인 면모의 남다름, 그러면서도 그러한 점을 괜찮게 봐 줄 수 있는 펑크 할당량 구비완료까지… 정말 완벽한 작품이다. 더불어서 긍정적 측면의 틴팝 성향의 팝펑크의 새 시대를 연 레이블의 Fueled By Ramen 의 브랜드 네임을 시작하게 만드는 앨범으로도 유명하다. 훗날 밴드는 너무 많은, 그리고 과도한 하이브리드 팝 마에스트로적 위치에 대한 무리한 도전과 상상외로 강경한 빠순 집단의 들러 붙음으로 곤욕을 치루며 밴드 이미지가 많이 퇴색되고 오해받곤 하는 처지에 이르른다. 하지만 그건 다 이 앨범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앨범만큼은 제대로이다. 여러모로 말이다.

Finch – What It Is To Burn (Drive-Thru/MCA, 2002)
20002-19
90년대 후반부터 있었단 틴에이저 겨냥형 팝펑크 장사의 열기가 확 식어지려고 하기 직전에 등장하여 새로운 메이저형 펑크 이정표를 멋지게 만든 자들이 있었으니… 그들이 바로 Finch 이고 이들의 데뷔작인 본작이 바로 그 물건이다. 팝펑크 특유의 파퓰러함과 파워풀함 + 90년대 중반부터 시작 된 이모 음악의 대중화의 엑기스를 섞는 가운데, 아주 잘 팔릴 건덕지인 “애들이 빠져 들만한 사운드적/메시지적 요소” 를 섞은 앨범으로, “이모와 팝펑크의 경계를 가장 효과적으로 뚫은 한장” 이라는 찬사와 “이모 마저도 애새끼들 코 묻은 돈 갈취하는 장르” 로 변질되게 만든 비난을 동시에 얻었다. 찬반양론적 앨범이지만 꽤 음악적으로나, 애티투드적으로나 뛰어난 밸런스를 갖춘 쾌작임에도 분명하다. 이모라는 장르를 쓰레기 장르로써 엄청나게 오해하게 만든(?) 앨범중에 하나이기는 하지만, 이 앨범만큼 이모와 팝펑크를 (심지어 적절한 하드코어까지) 잘 이어붙인 앨범도 없었으며, 이 앨범을 통해서 본격적인 이모+펑크의 메이저 장사질의 시작 & 이모와 팝펑크의 장점을 잘 믹스하는 밴드들의 대거 등장이 있었기에 너무 가혹한 평가만이 부각 되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밴드 전체적 커리어로 보면 개막장 그 자체지만, 이 앨범만큼은 이정표라 불리는데 손색이 없을 지어다.

The Get Up Kids – Guilt Show (Vagrant, 2004)
20002-03
Fugazi 가 시작한 하드코어의 엑스페리멘탈화/프록화로 탄생 된 이모코어, 거기에 인디락/모던락/기타팝을 덧대어 만들어 진 이모, 그리고 이모를 좀 더 대중적으로, 그러면서도 음악적인 부분과 애티투드/아이덴티티적인 면모까지 고루 챙기려 노력하고 있는 밴드 4번째 풀렝스 앨범 역시 팝펑크를 논하는데 빠질수가 없는 물건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이 앨범은 팝펑크가 아니다. 이모, 혹은 기타팝 앨범이다. 게다가 The Get Up Kids 는 팝펑크쪽 보다는, 인디락/모던락/기타팝쪽에 가까운 밴드였다. 허나 이 앨범은 팝펑크를 논하는데 빠질수가 없다. 이 앨범에서 보여진 팝펑크와 일맥 상통하는 심플하면서도 훅 넘치는 구성, 비트를 딱딱 때려대며 만들어 내는 다양한 팝 굴곡을 통해서 굉장히 역동적인 이모 사운드를 만들어냈고, 그렇게 만들어지는 의외의 에너지는 팝펑크와 일맥 상통하는 분위기를 만들어냈다. 그렇게 만들어진 사운드는 이 당시에 이뤄지던 이모와 팝펑크간의 장르파괴적 음악 믹스쳐/교류화를 이야기 하는데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고, 특히 과도하게 틴에이지 팝 비즈니스로만 나아가던 이모와 팝펑크와의 사운드적 믹스쳐 행태에 대해 음악적인 부분을 추구하느 밴드로의 근사한 카운터를 쳤다는 점에서 중요한 앨범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모 & 팝펑크의 뛰어난 음악적 믹스쳐는 2010년대 들어서 등장하는 이모, 이모 & 팝펑크 신예들 (Transit, Man Overboard) 에게 큰 참고서가 되었기에 더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Jimmy Eat World – Bleed American (Dreamworks/Geffen, 2001)
20002-04
2000년대 부터 근 10년간 팝펑크를 넘어, 이모를 넘어, 전체적인 펑크 역사에 있어서 굉장한 이정표 중의 하나였던 팝펑크와 이모의 서로간의 음악적/문화적 교류에 있어서 “최고봉” 을 논한다면 이만한 앨범이 있을까? 절대로 없다고 본다. 어쿠스틱 성향의 잔잔한 인디락/모던락 스타일의 이모를 구사하던 이들은 이 앨범에서 다소 파격적인 에너지 넘치는 일렉트릭 성향의 사운드를 본격적으로 시도했고, 그 에너지의 근간적 장르는 당연 팝펑크였다. 그런 시도는 완벽한 결론의 역사적인 쾌작으로 귀결 되었다. 팝펑크 특유의 캐치한 에너지와 이모 특유의 깊이있는 감성이 제대로 엉겨 붙어서 굉장한 시너지 효과를 이루어 낸 것도 놀랍지만, 타 밴드들 보다 음악적인 깊이와 폭넒은 연령대를 정복하고도 남을 마법적인 파퓰러함의 어필은 극강이었으며, 팝펑크와 이모와의 믹스쳐적인 매력뿐만 아니라 한 장르가 주가되고 나머지 장르가 백업이 되어 각 장르의 매력을 극한까지 올려주는 부분도 어마어마 했다는 점도 무시 할 수 없다. 일렉트로한 사운드 뿐만 아니라, 어쿠스틱한 사운드 역시 상당한 비중을 가지고 있었고,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각각의 장르의 음악적 매력과 깊이 역시 극에 달해서 표출되며 또 다른 관점의 어마어마한 인상을 남기기도 했다는 점도 빠질 수 없고 말이다. 그 뿐인가? The Middle, Sweetness 와 같이 장르 논쟁이 불 필요할 정도로 팝 음악계를 초토화 시킨 세기의 명곡/힛트곡도 있고, 이를 원동력으로 플래티넘까지도 달성하였다. 한마디로 모든 시도의 극을 보여주는 대명작 되겠다.

The Early November – The Mother, The Mechanic, And The Path (Drive-Thru, 2006)
20002-05
2000년대 부터 시작된 이모와 팝펑크의 믹스쳐를 논하는데 있어서 빠질 수 없는 재야의 강자로 시작한 밴드이기도 하지만, 거기서 멈추지 않고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려고 했던 위대한 도전자라는 표현이 더 어울리는 밴드인 The Early November 의 2번째 풀렝스 앨범이다. 왜 이들이 “위대한 도전자” 인지는 바로 이 앨범에서 드러난다. 이들은 일전의 앨범과 EP 에서 Jimmy Eat World 스타일의 양질의 이모 & 팝펑크 믹스쳐를 보여주었는데, 거기서 멈추지 않고 이 앨범을 통해서 프록/컨셉트 앨범적인 스케일과 그에 어울리는 아티스트적 노선의 인디락/모던락/어쿠스틱/컨트리 스타일의 음악적 깊이감을 과감하게 시도하며 이모 & 팝펑크를 예술적인 경지까지 끌어 올리려 했다. 2장의 EP 와 1장의 풀렝스로 이뤄진 더블 앨범 사이즈에 아낌없이 담은 굉장한 야심작이며, 다양한 장르의 단독적 디깅 대성공과 각종 장르의 뛰어난 밸런싱의 믹스쳐/교차 운영은 평균적인 이모/팝펑크의 수준을 극단적으로 뛰어 넘으며 상당한 음악적 임팩트를 선사하고야 만다. 허나 이 앨범으로 인해 밴드 내부의 정신적 피로도는 극에 달하게 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밴드는 해산하게 된다. 허나 밴드는 2012년에 걸출한 새 앨범을 발표하며 멋진 컴백을 해 냈고, 2010년대 부터 시작 된 팝펑크의 무식하리만큼의 과감한 음악적 시도라는 분위기에 맞물려 시대를 앞서간 롤모델로 재평가 받으며 더더욱 좋은 인상으로 새출발을 해 내고 있기도 하다. 그 당시에도 대단하며, 지금 벌어지고 있는 팝펑크의 과감한 변화상의 청사진이기에 더더욱 대단한 평가를 받아야만 하는 그러한 앨범 되겠다.

Alkaline Trio – Crimson (Vagrant, 2005)
20002-06
Misfits 의 스트레이트한 호러 펑크, The Cure 의 탐미적인 고딕 펑크는 90년대 팝펑크 사운드와 만나서 호러/고쓰 성향의 팝펑크라는 파격성과 정통성을 동시에 지닌 스타일로 발전하게 된다. 이 역시 90-2000년대의 메이저 팝펑크 전략과 마찬가지로 음악적 깊이 없는 10-20대 소비적 팝펑크로 전략했고, 이모라는 장르가 아이라이너 그리고, 여자 사이즈 청바지 입고, 이상한 까마귀 머리하고, 중2병적인 자살 시도하기를 시전하는 멍청한 한량놀음이라는 대 오해를 사게끔 만들었다. 하지만 몇몇 뛰어난 밴드들 덕택에 그러한 일반화는 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상기시켜 주었는데, 그 중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이 바로 본작이다. Face To Face 와 마찬가지로 씁쓸한 감성 코드를 집어넣은 팝펑크로 시작한 이들은, 점차 앨범의 장수를 늘려가며 고딕적인 코드의 우울함을 증가 시키며 자신들만의 아이덴티티를 새롭게 정의하고 극단화 시키기 시작했는데, 이 앨범은 음악적 역량과 밴드의 개성추구가 극에 달한 작품이다. 우울한 감성을 지닌 탐미적 멜로디와 팝펑크 특유의 역동적인 에너지와 직선미, 남다른 캐치함의 묘미는 또 하나의 이정표가 되었고, 깊이 없는 고쓰를 추구하던 10대 팝펑크에 대한 경종이자 가장 뛰어난 가이드라인으로도 맹활약 했다. 그 뿐만인가? 밴드는 이 앨범을 통해서 The Cure, The Sister Of Mercy, Misfits 의 진정한 계승자, 호러적 공격성과 탐미성의 불가능한 믹스쳐의 성공, 그로 인한 매우 대단한 펑크 캐릭터 완성이라는 대위업을 달성하기도 했다. 그 뿐만이 아니다. 이 앨범을 기점으로 밴드는 계속 예상치못한 방향으로 과감한 변화의 쾌진격을 하고 있기도 하다. 2013년인 지금에도 꽤나 강력한 음악성과 독특한 개성으로 유명한 이들의 명성의 시작이 바로 이 앨범이라는 점도 중요하겠다.

Anti-Flag – For Blood And Empire (RCA, 2006)
20002-07
The Exploited, GBH, Total Chaos 의 뒤를 잇는 스트릿 펑크인 동시에, 스트릿 펑크가 지닌 음악적/사상적 부실함의 대 혁신이라는 꽤나 야심차고도 위험한, 심지어 무모하기까지도 한 도전을 과감히 해 낸 Anti-Flag 의 6번째 앨범이자, 모두가 경악하던 “메이저 데뷔작” 이기도 한 앨범이다. 밴드는 펑크 정치색 짖은 & 펑크 아나키즘적인 스트릿 펑크의 텍스쳐를 그대로 이어가는 밴드로 시작했지만, 자신들의 레이블 A-F Records 를 설립하고 운영하면서 정치적 슬로건의 레벨을 키우는 동시에 스트릿 펑크를 좀 더 캐치하게, 캐치하되 펑크적 아이덴티티에 전혀 해가 가지 않는 마무리를 행하는 뛰어나고도 영악한 자기혁신의 극을 보여주고 있는 밴드로 유명했고, 그러한 점은 이들을 메이저 필드까지 올라서게 만들었다. 엄청나게 캐치하고 파퓰러한 펑크락 사운드에 던져대는 정치적 이슈 메이킹과 완벽한 사운드/메시지의 조화는 경악 그 자체이며, 전쟁, 복지, 언론, 발언권, 자유주의에 대한 진정한 의미 등 다루는 소재도 다양하며 깊이도 엄청나다는 점은 더더욱 놀라웁다. 밴드 역사상 & 스트릿 펑크 역사상 가장 파퓰러한 앨범이었고, 가장 파퓰러 한 사운드만큼 정제되지 않은 정치적 펑크의 전통적인 모든것과 혁신적인 모든것을 다 제창한 앨범이었다. 메이저에 올라갔다며 엄청난 비난이 있었지만, 뛰어난 사운드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중의 귀와 정신을 침투한 날이 시퍼렇게 선 정치적 펑크 사운드는 비난보다 더 강한 호의적 평가를 얻는데 성공했다. 아쉬운점은 90년대 메이저 진출 팝펑크 밴드들과 마찬가지로 “대중적 벽을 넘기엔 무리” & “골수팬들을 만족 시키기에도 무리” 가 예상대로 화끈히 작렬 했다는 점이다. 밴드는 한장의 앨범을 더 내고 다시 마이너로 돌아왔고, 더욱 놀랍게도 음악적으로 꽤나 헤메는 중이다. 결국 이 앨범이 최고로 남아가가고 있다.

Propagandhi – Today’s Empires, Tomorrow’s Ashes (Fat Wreck Chords, 2001)
20002-08
Anti-Flag 과 더불어 90-2000 정치 펑크를 논하는데 있어서 절대로 빠트릴 수 없는 밴드인 Propagandhi 의 3번째 풀렝스 앨범으로, Anti-Flag 과 마찬가지로 파퓰러함과 정치 슬로건의 극대화를 노리는 다소 무모하지만 용감한 시도를 감행하는 앨범이다. 이들은 Anti-Flag 보다 좀 더 강경한 정치적/음악적 마인드를 지닌 괴물과도 같은 존재인데, 아나키즘 펑크 카데고리에 존재하지만 아나코어 및 다양한 펑크/하드코어 특유의 패션과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극단적인 안티테제와 그러한 노선에 걸맞는 음악적/사상적 대 개혁을 시도하는 밴드이기도 하기에 그러하다. 이 앨범은 그러한 밴드만의 독고다이적 아이덴티티가 긍정적인 측면으로 대폭발하기 시작한 밴드의 이정표같은 앨범으로, 80 하드코어 펑크에서 시작된 파퓰러한 변화상의 사운드의 정통성과 그것을 음악적으로 쉴 새 없이 개조/발전 해 나가기 위한 노력의 극단적 표출 대성공이 이뤄진 앨범이다. 매우 격렬하고도 깊이있는 펑크적 정치 슬로건의 깊이, 정치 펑크에 대한 거침없는 비판과 적대심, Suicidal Tendencies 로부터 시작 된 크로스오버적 사운드적 격렬함의 재미, 격렬함 속에 숨이었는 만만찮은 감성적 코드까지 만만치 않은 부가적 요소 또한 눈여겨 볼 만 하다. 정치 펑크의 내외적 문제를 가장 용감하고도 논란적으로, 그리고 극단적인 긍정적 차원으로 끌고 간 조용하고도 강렬한 혁명이라 말하고 싶은 앨범 되겠다. 엄밀히 말해서 팝펑크와 매우 거리가 먼 독하디 독한 정치 펑크지만, 그와 별개로, 그와는 철저하게 대립되는 뛰어난 음악성과 대중성의 펑크 사운드는 어거지라도 이 카데고리에 넣어야만 한다는 생각을 하게 만들기도 한다. 실제로 그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가장 독한 펑크를 매우 파퓰러하게 즐기게 만드는 상황을 만들어 낸 것을 어찌 무시 할 수 있을까나?

Billy Talent – Billy Talent II (Atlantic/Warner Music, 2006)
20002-09
미국에서는 크게 알려지지는 못했지만, 자국인 캐나다에서는 엄청난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밴드 Billy Talent 의 두번째 앨범. 이들은 중적 팝펑크의 캐치함과 90-2000년대식 멜로딕/포스트 하드코어의 헤비함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으며, 그와 동시에 메이저와 마이너 스타일의 장점을 동시에 지닌, 한마디로 매우 이상적인 사운드를 지니고 있다. Finch 에서 감성적인 코드와 틴팝적인 꼼수를 과감히 제거하고 파퓰러함과 헤비함을 잘 추구하면 나오는 사운드라고 생각하면 되기도. 빅 힛트적 요소는 부족할지 모르지만, 역동적인 헤비함과 캐치한 팝펑크의 장점만이 응집되어 구가되는 이들만의 아이덴티티는 펑크락 아이덴티티를 지키면서 새로운 사운드로의 결과물을 내 놓는 측면에서 따져보면 “최고의 결론” 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팝펑크와 하드코어의 가장 이상적인 이용과 현대화라는 무시 할 수 없는 작품 되겠다. 특히 이러한 팝펑크의 하드코어적 헤비함은 2010년대 팝펑크의 한 경향 및 팝펑크와 대중적 하드코어의 결합의 또 하나의 스타일 구축이라는 부분의 청사진이 되기도 한다. 글로 표현하기에 크게 새로운건 없지만, 내적으로는 매우 대단한 쾌작으로 꼭 한번 경험해야 하는 앨범이라고 못 박아두고 싶다.

Bayside – S/T (Victory, 2005)
20002-10
Alkaline Trio 이 보여준 고쓰/팝펑크 콤비네이션의 배턴을 가장 잘 이어받는 밴드라고 할 수 있는 Bayside 의 두번째 앨범이다. 이들은 고쓰/호러 특유의 탐미적인 혹은 공포적인 컬트함에 크게 집착하지는 않지만 (특히 비주얼과 가사에 있어서), 굉장히 세련되고 깊이 있는 고쓰 멜로디를 꽤나 잘 응용하는 스타일을 일단 주축으로 하고 있다. 그러면서 팝펑크와 하드코어 펑크의 경계에서 두가지의 장점을 고루 갖춘 스트레이트함과 파퓰러함의 장점을 모두 구사하고 있고, 심지어 메탈 사운드적인 화려한 기타 애드립/솔로잉까지 과감히 끌어다가 쓰는 과감함 까지도 추구한다 있다. 고쓰-이모-팝펑크-하드코어-메탈의 하이브리드인 동시에, 자신들이 응용하는 모든 장르 중 하나의 카데고리화 하기에 꽤나 의아감을 품을 수 밖에 없는 자신들만의 개성적 음악적 아우라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결론은 팝펑크로 좁혀지지만 말이다.) 팝펑크의 2000년대화 & 극단적이고도 교묘하게 감춰진 양질의 돌연변이화/토탈 패키지화를 보여주는 대단한 작품 되겠다.

Paramore – Riot! (Fueled By Ramen, 2007)
20002-11
Fall Out Boy 와 더불어서 2010년대 팝펑크 히어로로 이야기 할 수 있는 밴드이자, 10대 팝펑크의 몇 안되는 양질의 성공사례로 손꼽히는 Paramore 의 두번째 앨범이자 2010년대 팝펑크 최대의 힛트작이다. 14살의 여성 보컬리스트 Hayley Williams 를 앞세운 고등학생 밴드로 시작 한 이들은 음악적 역량은 매우 별로였지만 (센스는 확실히 있다. 잘 살리지 못한건 문제지만!) , 그러한 부분을 간과하게 만드는 열과성을 다하는 자세와 진지함과 풋풋함이 잘 겸비되어 좋은 인상을 받기에 충분한 음악은 매우 괜찮은 모습이었으며, 10대들의 이야기를 소박하게 담은 가사로 공감을 만들어 내는 재주는 너무나도 뛰어났다. 이는 10대 펑크락 키즈들과의 열렬한 지지를 얻어내기 시작하는데 부족함이 없었다. 여기에 그러한 요소들이 프론트걸 Hayley Williams 의 실력과 객기가 겸비 된 매력적인 라이브 퍼포먼스로 극단화 되며 더더욱 높은 인기를 구가하게 되며 현재 최고의 밴드로 거듭나게 된다. 특히 10대를 위한 펑크가 “팔아먹기 위한” 이 아닌 “공감하기 위한” 이라는 측면으로 접근한 작품들 중 가장 10대 대변적인 음악과 메시지를 가지고 있었고, 그것을 10대 키즈인 동시에 새로운 펑크 키즈로의 아이덴티티로 뉴비와 올드비, 그리고 펑크락에 관심없는 대중들까지 좋은 모습을 전해 준 빨간머리 소녀 Hayley Williams 의 캐릭터는 너무나도 굉장했다. 특히 펑크 코스프레 Avril Lavigne 로 인해 꽤나 열 받아 있던 펑크 뉴비/올드비들의 원함을 완벽히 충족 시켜 주었다는 점은 매우 중요하며, 한 시대의 어린 펑크 문화권의 대변인적 위치까지 나아 갔다는점과, 펑크락 역사에 길이 남는 당대의 프론트 우먼과 견줄 정도로 성장했다는 점 역시도 중요하겠다.

Thrice – The Artist In The Ambulance (Island, 2003)
20002-12
90년대 중반부터 팝펑크를 뼈대로 하여 하드코어적인 헤비함을 추구하려는 펑크와 멜로딕 하드코어의 중간형태, 그와 동시에 80-90년대의 멜로딕 하드코어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스타일의 밴드들이 하나 둘 씩 등장하며 팝펑크 or 하드코어 음악의 새로운 스타일을 제시한 밴드들이 하나 둘 씩 등장했는데, Thrice 는 그 중에서도 시기적으로나 음악적으로나 매우 앞서간 바 있는 진정한 의미의 파이오니어 밴드다. 이들에게는 80 하드코어 펑크 에서 발전 된 정통 스타일은 물론, 90년대 후반부터 등장한 기타팝 성향의 메이저 스타일의 요소를 동시에 가지고 있었고, 그 두가지가 혼재 된 사운드에 하드코어적 파워와 스피드가 가미된, 그와 동시에 메이저/틴팝 힛트적인 노림수가 없는 음악적 고집 역시 보여주며 진정한 의미의 새 시대의 아이콘으로 평가받기 시작했다. 메이저 데뷔작이자 밴드의 3번째 앨범인 본작은 그러한 노력의 최고점에 위치하는 앨범이다. 정통적인 팝펑크, 메이저적인 팝펑크, 이모적인 감성, 메탈릭한 헤비함과 다소 화려한 손놀림의 멜로디어스함, 하드코어적인 모쉬핏 리듬까지 모두 들어 있으며 매우 펑크적으로, 매우 메이저 음악적으로 잘 귀결한 작품이다. 완벽한 사운드에 어울리는 진지한 분위기와 그에 걸맞는 깊이 있는 가사 역시 불만하다. 2010년대 들어서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팝펑크와 하드코어와의 경계 모호 현상의 시조라고 할 수 있는 작품이며, 엔터테인먼트적 요소의 강함과 그에 걸맞는 레벨로 강력한 아티스트적 오오라까지 풍기는 기묘하고도 친근한 앨범이라는 점에서 지금 그 어떤 팝펑크-하드코어 콤보보다도 위대한 위치에 존재하는 앨범이라는 점도 매우 중요하겠다.

NOFX – The War On Errorism (Fat Wreck Chords, 2003)
20002-13
90년대 최고의 팝펑크 마스터피스라 할 수 있는 Punk In Drublic 이 음악적으로나 상업적으로나 대성공을 거둔바 있는 NOFX. 하지만 밴드는 그때를 기점으로 완만한 하향세를 기록하고야 말았다. 메이저의 지나친 러브콜로 인한 반-상업적 앨범 제작, 그때를 기점으로 매우 심해진 알콜 & 마약 중독문제, 그로 인한 건강악화 & 밴드 라인업 흔들림이 있었는데 어찌 하향세가 아닐 수 있을까나. NOFX 도 이제 역사의 뒷편으로 사라져 갈 것이라는 일종의 사형선고를 받았을때 바로 이 앨범이 등장했다. 부시 2세 정권을 철저하게 유린(?) 할 목적으로 만든 앨범이자, 부시 정권을 비판하지만 실제로는 아무런 긍정적 효과도 낳지 못한 입진보도 동시에 농락하며, NOFX 특유의 거친 개그 역시 여기저기서 터트리는 앨범인 본작 말이다. 정치적 이슈를 조금 다루긴 했지만, 짖궃은 유머러스함에 매진하던 모습이 주였던 NOFX 의 정치적 비판형 펑크락은 꽤나 관심을 모았고, 그보다 더욱 뛰어난, Punk In Drublic 에 버금가는 캐치-스피디-멜로딕 레이싱의 매력 부활은 더욱 더 큰 사랑을 받게 되었다. 이 당시에 90 팝펑크 히어로들의 음악적 쇠퇴가 있었지만, 곧바로 빠른 음악적 회복을 보여주었던 예들이 많았는데 이 앨범은 그 중에서도 시기적으로나 퀄리티적으로나 매우 앞서가는 앨범이었고, 이 앨범을 기점으로 NOFX 의 커리어는 물론 베테랑 언더그라운드 팝펑크 밴드들의 음악적 재기는 계속 되었다는 점도 중요 하겠다.

Flogging Molly – Within A Mile Of Home (Side One Dummy, 2004)
20002-14
Rancid 가 70 펑크 리바이블임에도 불구하고 90년대 팝펑크 붐과 남다른 캐치한 훅으로 인해 90 팝펑크를 이야기 하는데 있어서 빠질 수 없는 한장 이었듯이, Flogging Molly 의 3번째 앨범인 본작 역시 그러한 연장선상에 있는 앨범이다. Flogging Molly 는 아이리쉬/켈틱 민속음악적 요소를 펑크와 접목 시킨 켈틱 펑크를 구사하는 밴드였고, 아이리쉬 아메리칸에만 먹힐 것 같은 민족적 색채는 의외로 미국/세계 펑크씬을 뒤흔들 정도로 큰 인기를 구가하게 된다. 인기가도의 원인으로는 이들만의 음악적 개성이 가장 크게 작용 하겠지만, 그와 동시에 이 밴드에게 들어있는 남다른 “대중성” 이 좀 더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들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는 Dropkick Murphys 가 앨범을 거듭내며 탈-펑크/친-켈틱 민속음악적으로 변화했지만, 이들은 그 두 장르의 이질감의 믹스/밸런싱을 계속 행하며 그로 인해 높은 음악적 평가와 인기가도를 빠르게 구가하여 시대의 아이콘으로 거듭 났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지 않나 싶다. 3번째 앨범인 본작은 그러한 매력이 극에 달한 앨범이다. 민속 음악과 펑크와의 기가 막힌 조화, 그리고 뛰어난 대중화는 분명 팝펑크 역사를 논하는 데 있어 빠질 수 없겠다.

The Suicide Machines – War Profiteering Is Killing Us All (Side One Dummy, 2005)
20002-15
팝펑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스완송” 이라 할 수 있는 앨범이 바로 본작 되겠다. 90년대부터 활동을 시작, 팝펑크-하드코어-스카를 모두 섭렵한 90 팝펑크 토탈 패키지로 멋지게 90년대의 한 페이지를 기록했지만, 메이저와 계약 하자마자 Sugar Ray, Smash Mouth 와 같은 90 펑크/하이브리드 메이저 락 스타일로 충격적인 변신을 하며 평가적으로나 상업적으로나 대실패를 기록하며 지옥으로 떨어진, 그리고 다시 메이저에 돌아와 데뷔 시절의 팝펑크/하드코어/스카 콤보를 더욱 더 강한 파워와 스피드로 구사하며 화끈한 재기를 기록한 The Suicide Machines! 그들의 마지막 앨범이다. 80 올드스쿨 하드코어 펑크와 90 팝펑크를 왔다갔다 하는 짦고 빠르고 캐치한 스피드 레이싱을 쉴 새 없이 작렬하는 가운데, 여기저기에서 팝펑크 특유의 캐치함과, 스카 음악 특유의 이국적 리듬을 재미지게 난입 시키는 재주가 매우 뛰어난 사운드가 특징이다. 그와 동시에 가장 직선적으로 표현한 공격적인 정부/정책 비판과 이런 상황을 만든건 어린 입진보 멍청이들이라며 젊은/깨어있다고 자부하는 세대들에게 비난의 맹공격을 가하기도 하는 독특한 정치관이 거친 사운드와 합쳐지며 그럴싸한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기도 하다. 노장 팝펑크 밴드들의 음악적 회춘을 논하는데 있어서 가장 거친 퀄리티의 명작 되겠다. 이보다 더 거친 발전상은 없음!

MxPx – Secret Weapon (Tooth And Nail, 2007)
20002-16
“대견한 정신을 지닌 어린/젊은 팝펑크” 밴드로 큰 인기를 구가한 MxPx 도 메이저에 올라가자 여지없이 망가졌다. 이들은 틴팝 힛트넘버 제조와 자신들의 음악적 아이덴티티 유지의 중간선을 찾으려 쉼없이 노력했지만, 노력만 가상한 결과물들만 즐비했고, 결국 메이저에서 실패/결별을 당하게 된다. 허나 마이너 컴백작 Panic 에서는 자신들이 노림수가 발휘되기 시작했다. 힛트 넘버 제조에 대한 노림수를 약간만 줄이자 MxPx 가 지닌 원래의 매력과 새로운 모습/힛트적 요소가 더 잘 살아나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밴드는 친정인 Tooth And Nail 로 돌아오며 본작을 발표했고, 밴드 역사상 커리어 하이를 기록하게 된다. 파워풀한 스피드를 위주로 한 파퓰러한 펑크락, 펑크락 특유의 인디 음악적 에너지를 충분히 지닌 양질의 기타팝의 공존이라는 성인 MxPx 의 음악적 여정은 이 앨범을 통해서 완벽한 형태를 갖추었고, 한두곡 재미삼아 끄적 거렸던 어쿠스틱 넘버 제조에 대한 재능 역시 폭발했다. Life In General 2 이라고 해도 될 만큼 MxPx 가 지닌 풋풋한 객기와 대견한 정신상태를 동시에 지닌 음악성/메시지성이 또 한번 대폭발을 이룬, 밴드의 쾌작 되겠다. 물론 팝펑크 베테랑의 음악적 재기를 논하는데에서도 빠질 수 없는 작품이기도 하고 말이다.

The Gaslight Anthem – The 59 Sound (Side One Dummy, 2008)
20002-17
2000년대를 화려하게 장식하는 가운데, 새로운 2010년대를 여는, 한마디로 팝펑크 역사의 극적인 이정표라 할 수 있는 앨범이다. 이 앨범은 지금까지의 펑크/하드코어적 뿌리에서 벗어난 팝펑크이며, 오히려 Bruce Springsteen 과 같은 전형적인 아메리칸 락앤롤 히어로의 팝펑크 어프로치라고 할 수 있는 앨범이다. 블루스/컨트리에서 시작되어 현대적으로 변화 해 온 미국 락에 대한 팝펑크의 응답이라고나 할 수 있기도 하다. 전통적 락앤롤 사운드의 모던화, 그리고 그것을 에너지 넘치는 펑크락으로 개조 해 내며 모던함과 빈티지함을 동시에 지닌 극단적 유니크함의 팝펑크 사운드의 탄생, 그와 동시에 펑크적 아이덴티티에 해가 되지 않는, 오히려 시너지 효과적으로 경이롭게 어우러진 팝펑크적 믹스/어레인지는 대단한 개성과 품위와 아이덴티티를 자랑한다. 발표와 동시 펑크락 역사에 길이 남는 이정표로 바로 기록 되었고, 펑크락씬을 넘어서 대중 음악씬의 대단한 화두의 밴드로써 큰 호평을 받았으며, 2008년 연간 결산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올해의 한장급 앨범으로 쉴 새 없이 불러 다니기도 했다. 당연히 메이저 데뷔도 했고, 이들의 롤모델인 Bruce Springsteen 과의 협연도 했으며, 2010년대를 화려하게 장식한 이 시대의 클래식 뮤지션으로도 당당히 자리매김 했다. 60여년의 미국적 사운드와 팝펑크와의 랑데뷰, 그렇게 탄생한 어마어마한 개성은 하나의 펑크 서브 장르화가 되었고, 현재 수많은 후배 밴드들을 만들어 나가며 더욱 더 큰 덩치를 키워 나가고 있다는 점도 중요하다. 이 앨범은 2000년대 펑크를 논하는데 있어서 빠질 수 없는, 필수코스 그 자체이며, 더 나아가 2000-2010년대 대중 음악 역사의 쾌거인 앨범이기도 하다. 더 많이 떠들어야 하지만 이만 줄인다.

- Mike Vill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