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llains Series #09] 밀레니엄 헤비니스 클래식 100선 Part.3 (75위 – 51위)

[Villains Series #09] 밀레니엄 헤비니스 클래식 100선 Part.3 (75위 – 51위)

75위 : System Of A Down – Toxicity (American Recordings, 2001)
75뉴메탈/얼터너티브 메탈이 빠르게 인기를 얻어가자 이를 바로 캐치한 메이저 레이블은 팔아먹기 위한 기획력 과하게 밀어 붙였고, 이쪽 장르가 너무나도 빠르게 성공을 거두었지만 그와 동시에 매우 빠른 속도로 음악적인 부분이 망가지게 되었다. 파이오니어급 밴드만이 약간의 의미가 있을뿐이었고, 돈이 되는 찰나에 등장한 신예들은 모두 “거지같은 밴드” 로 폄하하고 넘어가도 그다지 틀린말은 아니게 될 타이밍에 이들이 나타났다. 데뷔작은 그저 상업적인 뉴메탈 뼈대에 아르메니아계 출신다운 중동 음악 바이브를 집어 넣은 약간 이색적인 헤비 밴드로만 보였다. 허나 이들의 음악을 조금만 깊히 탐구 한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위험하다라고 느끼게 되었는데, 중동 이민자적인 정치관점과 뉴메탈/랩메탈 이상의 다양한 메탈/하드코어 펑크적 사운드의 시도를 통한 범상찮은 음악적/사상적 음흉함이 장난이 아닌 밴드가 바로 이 밴드의 진정한 정체였기 때문이다. 그 위험함은 두번째 앨범인 본작에서 아낌없이 표현되고야 만다. 중동풍의 멜로디를 가진 뉴메탈/얼터너티브인 동시에, 뉴메탈적인 방법론의 크로스오버 쓰래셔, 하이브리드 락적인 뼈대의 하드코어 펑크라는 다양한 아우라를 지닌 밴드러써 파괴감과 질주감을 무엇보다 내세웠고, 매우 독창적인 곡 구성과 연주 테크닉을 통해 매우 독창적인 밴드로 거듭났으며, 더욱 더 짙어진 정치성향과의 합체를 통해 그 “신예 뉴메탈러는 거지같다” 라는 공식을 보기 좋게 깨 부수게 된다. 이들은 Slipknot 과 더불어 뉴메탈/얼터너티브 메탈의 과격 메탈화의 성공사례로 남았고, 뉴메탈이라면 학을 떼는 골수 메탈론자들로 부터로도 의외로 강한 인정을 받기에 이르른다. 혹자는 Suicidal Tendencies, Anthrax, Bad Brains, Poison Idea 등 다양한 밴드들의 뉴 제네레이션 사운드로도 평가했다. 메탈과 펑크는 친했지만, 뉴메탈/얼터너티브 메탈/펑크와 친하지 않았다. 요즘도 그렇고 앞으로도 그럴거다. 그러나 Toxicity 는 달랐다. 매우 기괴 했지만, 반가운 등장이었다. 뉴메탈에 몇 안되는 면죄부가 있다면, 이 앨범이 될 것이다.

Chop Suey!

 

74위: Megadeth – Endgame (Roadrunner, 2009)
74쓰래쉬 메탈을 논하는 자리라면 첫번째는 아니더라도 그 누구에게도 두번째 자리만큼은 내주지 않았던 Megadeth 였지만, 그들도 세월 앞에서는 장사가 아니었다. 급격히 변하는 헤비니스 시장의 변화에 따라가지 못했고, 왕년에 시기의 반타작도 못치는 음악적 결과물들로 인해 급격하지는않지만 완만한 하락세를 계속해서 기록했다. 이는 해산 후 재결성을 해도 고쳐지지 않았다. 명성만 남은 밴드의 재증명만 계속 될 뿐이었다. Dave Mustaine 는 그답지 않은 무식한 결론을 내린다. 그는 해봤자 안되는 치밀하고도 복잡한 구성의 Megadeth 의 모습을 과감히 버리고, A 부터 Z 까지 스트레이트함으로 점철된, 스트레이트함을 100% 쥐어짜지 못하더라도 일단 시원하게 밀어 붙이고 보는 앨범을 만든다. 그것이 Endgame 이었다. 그답지 않은 모 아니면 도의 결정이었지만, 놀랍게도 최근 활동중에서 가장 뛰어난 결과가 나오고야 만다. 스트레이트함을 밀어 붙이자 왕년의 Megadeth 의 바이브가 되살아 났고, Dave Mustaine 빼고는 전혀 Megadeth 라는 포맷에 어울리지 않았던 나머지 멤버들의 겉도는 모습도 완벽하게 해결 되었다. 게다가 쓰래쉬 리바이벌이라지만, 빅4가 영 신통치 않았던 모습을 가장 통쾌하게 해결한 결과까지도 나아갔다. 이 앨범을 통해 Megadeth 는 그나마 추억팔이 레벨있게 하는 밴드에서, 그래도 두세장 뭔가 더 보여 줄 밴드로 거듭나게 된다. 그리고 그 열기는 차기작 Th1rt3en (2011) 로 이어갔고, 2013년에 낼 새 앨범에 대한 기대감도 높히게 된다. 여러모로 Dave Mustaine 에게 의미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겠다.

Head Crusher

 

73위 : Trivium – Ascendancy (Roadrunner, 2005)
73Trivium 은 지금까지의 메탈 사운드와는 전혀 다른 밀레니엄 메탈 및 2000년대 미국 메탈의 개념을 정의하는 아이콘적인 밴드들 중 하나로 화려하게 등장한 밴드다. 무엇보다 놀라운 점은 고등학생 정도의 나이대의 멤버들이 단 한장의 앨범으로 그러한 위대함을 거의 완벽한 형태로 구사 해 냈다는 점에 있다. 이 놀라운 재능이 빠른 페이스로 앨범을 양산하게 되면서 너무나도 빠르게 사라졌다는 부분은 아쉽다. 하지만 이들의 두번째 앨범인 Ascendancy 는 말 그대로 레전드로 불러도 부족함이 없는 앨범이다. 이들은 데뷔 앨범부터 이들은 정통 헤비메탈, 쓰래쉬, 파워메탈 등 60년대부터 2000년대 까지의 모든 메탈 계보의 특징을 모두 섭렵하고 자기것으로 만들며 수많은 업계인을 긴장 시키며 화려하게 등장한 바 있었다. 그렇다면 두번째 앨범이자 Ascendancy 는? 음악적인 재능이 업 된 데다가, 매끄럽게 다듬는 재주에, 메이저 레이블의 전폭적 지지와 매스컴의 화려한 설레발까지 더해지며 생긴 여유로움 마저 누리는 최고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한마디로 발매 전부터 장난이 아닌 앨범이었고, 기대도 엄청났고, 그 결과 역시 대단하여 발매와 동시에 레전드가 된다. 지금까지의 메탈 역사를 총 집결하는 색채는 물론이거니와 과격한 사운드의 충분함, 범상치 않은 센스의 캐치하고 멜로디어스한 후렴부 제조 능력까지 만만찮았으며, 메탈뿌리의 밴드지만 2000년대 밴드답게 펑크/하드코어적인 느낌의 심플 & 러프한 양념질도 매우 대단했다. 특히 뛰어난 작곡력, 화려한 기타실력, 과격한 보이스의 주인공이자 가녀린 감성코드의 보컬까지 모두 해내는 Matt Heafy 의 존재감은 2000년대 신예들 중, 아니 동시대 밴드들 중 단연코 최강이었다. 밴드는 메이저 데뷔와 동시에 “차세대 Metallica” 로써 신화를 써 나갈 최고의 밴드로 점쳐질 정도였다. 하지만 차기작을 너무 서둘렀고, 메탈코어 스타일에 빠르게 적응한 팬들로 부터 새롭지 않다는 평과 이 앨범만큼의 퀄리티를 끌어 올리지 못하며 이제는 그 기세가 많이 꺾인 상태다. 하지만 이 앨범이 나온 당시에는 이들보다 더 센세이셔널한 신예 스타는 없었다. 그건 아무도 부정하지 못한다. 그리고 이러한 점도 있다. 기세가 꺾였지만, 차기작도 만만치 않은 수준이었고, 시간만 충분하다면 언제든 다시 레전드급으로 날아 오르는데 부족함이 없는 밴드라는 점 말이다. 그 근거가 뭐냐고? 별 다른거 없지 않나? Ascendancy 면 충분하지 않는가? 이 앨범이 그런 앨범이다.

Pull Harder On The Strings Of Your Martyr

 

72위 : Mogwai – Mr. Beast (Play It Again Sam/Matador, 2006)
72Mogwai 는 포스트락씬에 있어서 Nirvana 정도의 존재로 표현 할 수 있는, 포스트락계의 90년대를 정의하는 밴드이자, 자신이 쓴 90년대 포스트락 모든것을 새롭게 다시 쓰려 노력했고, 결론 또한 매우 대단하게 내린 바 있는 밴드라고 할 수 있는 대단하디 대단한 존재다. 그러나 이들은 헤비하지 않다. 그런데 왜 여기에 끼어 있냐고? 이들이 꽤나 타 메탈/하드코어 장르의 포스트락화에 꽤나 도움을 주었다는 점을 절대로 간과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바로 이 앨범이다. 2000년대 헤비니스 흐름과 비교해서는 한없이 헤비함과 스트레이트함이 부족하지만 꽤나 러프 해 진 사운드를 자랑했고, 이 앨범을 기점으로 Envy, Isis, Pelican, Jesu, Burning Inside, Eyes Of Fire, Thursday, Deftones 등 수많은 타 메탈/펑크/하드코어 장르들의 뿌리에서 포스트락적인 접근법을 시도하는 밴드들과 교감하는 장이 만들어졌으며, 지금도 계속되고 있고, 좋은 결과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그래서인가? 이 앨범을 기점으로 메탈, 하드코어쪽의 언론과 골수 팬들이 Mogwai 의 행보에 대해 역으로 꽤나 관심을 보이는 기현상이 이 앨범을 기점으로 일어났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이는 나쁜것이 아니다. 다양한 헤비 음악과 결탁하며 계속해서 혁신적인 헤비함이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타 필드의 밴드와 문화 구성원들을 모이게 할 껀수를 제공했다. 이는 절대로 간과해서는 안되는 2000년대의 중요한 흐름이다. 짚고 넘어가야만 한다.

Glasgow Mega-Snake

 

71위 : Wormrot – Abuse (Earache, 2010)
712000년대 후반 들어서 일어난 기현상 중 하나는, 바로 동남아 그라인드코어 밴드들에 대한 서양 익스트림 메탈 전문가들의 디깅이었다. 그러나 그건 어찌보면 기현상은 아니었다. 동남아의 수많은 그라인드코어 밴드들은 서양 세계의 과격 음악 애호가들을 충분히 놀래킬 음악성을 자랑하고 있었으니까 말이다. 그렇게 놀라게 된 사람 중 한명은 익스트림 메탈/그라인드코어의 탄생과 같이 해 온 Earache Records 의 사장 Digby Pearson 이었고, 그들의 음원을 불법 다운르도(!?!?) 로 접하게 되자마자 대단한 충격을 받아 그는 바로 이들에게 계약서를 디밀었다. 그로 인해 자국 싱가폴에서 발매 된 이 앨범이 월드와이드 데뷔를 했고, 엄청난 실력과 더불어서 80년대 초반 그라인드코어 탄생기의 그것과 같은 DIY 애티투드 신화가 각종 메탈지에 알려지며 더더욱 이들의 컬트적 인기가도는 하늘을 찌를 정도로 발전하게 된다. 무엇보다 놀라운 점은 이 싱가폴 출신의 밴드가 2000년대 그라인드코어의 혁신화에 대해 또 한번 미래상을 제시하는데 성공 했다는 점이다. 브루털함을 쉴 새 없이 구사하면서도 캐치함, 리듬/그루브감, 완급조절, 치밀한 구성, 다양한 리프 제조, 다양한 템포의 이용, 펑크적인 접근법 등 쉴 새 없이 그라인드코어가 가진 한계를 돌파하려 했고 성공했다는 점은 의미가 깊다. 절대로 동남아 성공신화로만 바라봐서는 안되는, 그라인드코어의 또 한번의 새로운 장을 연 사운드로 바라 봐야만 하는 그런 앨범이다.

Born Stupid

 

70위 : Queens Of The Stone Age – Songs For The Deaf (Interscope, 2002)
70스토너 하드락의 모던화/90년대화의 아이콘이라 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밴드 Kyuss 에서 뛴 바 있는 두명의 인물들의 새 밴드였던 QOTSA 는 Kyuss 가 가졌던 90 얼터너티브적인 색채의 모던함을 좀 더 심오하게 추구하는 한편, Kyuss 가 가지지 못했던 5-60년대 미국 컨트리/블루스/기타팝의 3분 마법 또한 심오하게 추구했다. 물론 스토너 하드락 특유의 “약물간지” 를 우려 내는데에도 부족함이 없었다. 그렇게 만들어진 초기 3장 모두는 전부 최고인 동시에, 취향대로 골라서 “이게 최고다” 해도 전혀 문제가 없을 정도로 모두 다 마스터피스였는데, VillainsSound 의 선택은 3번째 앨범인 Songs For The Deaf 가 되겠다. 전작들보다 더욱 더 강해진 클래식 락적인 기타팝의 파워업은 이들이 Black Sabbath 의 계보를 잇는 밴드만이 아닌, The Beach Boys, Gram Parsons, CCR, ZZ Top 의 계보를 잇는 밴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고, 이는 보컬/기타리스트 Josh Homme 의 몫이었다. 또 다른 브레인인 Nick Oliveri 는 약물에 쩔은 Black Sabbath 을 비롯한 각종 약물 파워를 얻어서 표현되는 퍼즈한 블루스-하드락-헤비락의 매니악함을 자기 마음대로 표현하며 선이 딱 그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중요한것은 이 두명이 각자 극단적인 스타일을 추구하되, 중요한 부분에서는 둘이 원하는 사운드의 타협점을 찾아 매우 민주적이고도 이상적인 형태의 결론 역시 비중있게 구사 해 내기도 한다는 점이다. 락앤롤 천재성으로의 면모, 약에 절은 미친 밴드로의 광기, 그리고 그 두가지 매력의 이상적/현실적 결론이 가장 잘 나온 이 앨범은 이들의 최고작이라고 생각된다. 하나 더 이야기 하자면, 가장 그럴싸하고도 새로운 모습으로 약물음악을 제대로 팔아 먹히게 만들었고, 제대로 팔아 먹었다는 점이다. 셀프타이틀 데뷔작이나 Rated R 이 더 낫다는 이야기도 있다. 그것도 틀린 이야기는 아니다. 허나 본지의 선택은 요거다. 요거라고!

Go With The Flow

 

69위 : Watain – Sworn To The Dark (Season Of Mist, 2007)
69블랙메탈이라는 장르는 그 특유의 극단적 언홀리/사타니즘과 극단적인 음악색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다양한 스타일을 추구하는 밴드들의 등장과, 의외적으로 강렬한 음악적 발전을 쉼 없어 행해오며 발전을 해 왔지만, 역시 세월에는 장사 없었다. 2000년대 들어와 수많은 아이콘들의 발전의 한계를 느끼고 행한 명예로운 은퇴, 계속 활동을 이어 나가던 밴드들의 음악적 하락세로 인해 블랙메탈은 메탈 밀레니엄에서 서서히 도태 되어갔다. 블랙메탈씬에는 매너리즘을 타파를 한방이 필요 했는데, 그때 제대로 터져 준 것이 바로 스웨덴 출신의 Watain 이었다. 패스트 블랙메탈 특유의 극단성을 추구 하면서도, 그 장르/스타일이 가지기 힘들었던 & 심포닉 블랙메탈이나 가능 할 법한 웅장한 스케일과 구성력을 갖추며 단번에 범상찮은 밴드로 등장했다. 볼거리도 제법 강렬한 밴드로도 유명했다. 사타니즘적인 강도는 물론이거니와, 2000년대 들어서 보여지기 시작한 컨셉-소품-사진 예술 등에서 비롯된 비주얼 아트적인 강도 역시 임팩트 했다. 3번째 앨범인 Sworn To The Dark 는 밴드 커리어에 있어서 본격적인 승부처였고, 현 블랙메탈의 대세이자 앞으로의 블랙메탈을 이끌어 나갈 넘버원 밴드로의 새로운 시대를 맞이 하는데 성공하게 된다.

Legions Of The Black Light

 

68위 : Chimaira – The Impossibility Of Reason (Roadrunner, 2003)
68밀레니엄 헤비니스의 굵직한 흐름들 중 하나는 뉴메탈/얼터너티브 메탈의 과격 메탈화였다. Slipknot 하면 딱 떠오르게 되는 그것 말이다. Slipknot 이라는 밴드의 임팩트함이 너무 강해서 그들을 제외하면 그다지 떠오르는 밴드가 많지 않을수도 있다. 만약 그러했다면 당신은 Chimaira 라는 밴드에게 침을 뱉은것과도 같다. 그 이유는 이들의 두번째 앨범인 The Impossibility Of Reason 으로 충분하다. 이들은 Slipknot 이 일으킨 새로운 헤비니스 페러다임에 대해 장사가 될 것임을 안 Roadrunner 가 선보이는 기획성 상품적 신예로 영입 되었고, 데뷔작 역시 그러했다. 그러나 2번째 앨범인 본작은 완벽히 다르다. 익스트림 메탈 어프로치가 가미 된 얼터너티브 메탈에 쓰래쉬, 데스메탈, 그루브 메탈, 인더스트리얼 메탈, 메탈릭 올드스쿨, (KsE 로 대표되는) 메탈코어 등 해드뱅과 슬램핏을 유발하는 모든것을 (전통적인 방식부터 최신 스타일까지 가리지 않고!) 집어 넣었고 매우 임팩트한 익스트림적인 뉴메탈/얼터너티브 메탈을 만들어 내는데 성공했다. 너무 강하고 새로워서 얼터너티브 메탈의 카데고리에 넣을수도 없었다는 점도 중요했다.모던한 Exodus 라던지, Strapping Young Lad 의 후계자, Machine Head 의 파워업으로도 이야기 할 수 있기도 했다. 매우 다양한 스타일을, 자기 식대로, 매우 현대적으로, 무엇보다 극단적인 모쉬핏 타임으로 귀결짓는, 한마디로 “밀레니엄 메탈” 이라는 명제에 텍스쳐가 되는 앨범이다. Slipknot 을 제외 한다면, 이 방면 탑이다. 다양한 스타일과 시대상의 믹스쳐의 레벨을 따진다면 그들보다 우위에 있기도 하다는 점도 무시 할 수 없겠다.

Pure Hatred

 

67위 : Iron Maiden – Dance Of Death (EMI, 2003)
6790년대 말부터 시작 된 다양한 헤비 장르들의 고정관념을 깨부수는 새로운 패러다임 시프트와 쉴 새 없이 이뤄지고 있는 발전과 변화, 돌연변이화가 2000년대 헤비니스 음악계의 핵심이자 미덕이지만, 그러한 음악들의 뿌리가 되는 정통파 베테랑들의 선전 역시 무시 할 수 없었다. 그 중에서도 전성기가 바로 지금이 아닐까나 착각이 들 정도로 엄청난 선전을 선보인 Iron Maiden 의 존재는 너무나도 임팩트 했다. 원년 보컬리스트 Bruce Dickinson 이 돌아오고 나서의 Iron Maiden 은 베테랑 중에서도 손꼽힐 정도의 최고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Iron Maiden 의 2000년대 하면 엄청난 실력과 티켓파워를 지닌 라이브 활동이지만, 그렇다서 해서 2000년대에 낸 앨범들을 등한시 해서는 안된다. 2000년대에 발표 된 Iron Maiden 의 앨범은 이들의 전성기인 80년대 초중반 다음에 가장 뛰어난 시기였으니까 말이다. 모든 앨범이 다 뛰어 나지만, 한장을 꼽는다면 바로 이것이다. Iron Maiden 하면 생각나는 정통 헤비메탈의 그것을 근간으로, 적절한 모던함의 삽입, 짦은 러닝타임의 심플한 곡을 선보이며 표출 된 또 다른 재능과 캐릭터성, 이들의 전매특허인 동시에 80년대 초중반 이후 최고의 기량을 선보이던 긴 러닝타임을 기반으로 한 드라마틱하고도 거대한 스케일의 부활과 재능폭발까지, 한마디로 최고의 결과물이 나온 앨범이 본작이기 때문이다. 아무도 예상치 못한 전성기 버금가는 결과물로 인해 밴드의 또 다른 전성기를 가져다 주었으며, 이들만의 카데고리에서 끝나지 않고 모든 정통 메탈 및 메탈 베테랑들의 관심의 저변확대가 이루어졌기에 더욱 더 의미있는 앨범이라 할 수 있겠다. 이 앨범의 강렬함이 없었다면, 메탈 추억팔이의 열기는 꽤나 감소 했을거라고 강력하게 주장하고 싶을 정도.

Wildest Dreams

 

66위 : Slipknot – Iowa (Roadrunner, 2001)
66뉴메탈의 상업적으로 먹힌다는것이 세상에 증명 되자마자 메이저 마이너 레이블은 너나 할 것 없이 바로 상업적인 결과가 나올 기획을 화끈하게 밀어 붙였다. 그때 이들이 나타났다. 가면과 점프 수트를 입을 괴물같은 놈들의 떼거지 쇼는 분명 돈을 창출할 기획 상품적인 것이었지만, 이들이 구사하는 뉴메탈/얼터너티브 메탈에는 아무도 예상치 못한 익스트림 메탈적인 과격함이 첨부 된 다이하드한 음악이었다. 화제를 모았던 데뷔작에 이은 2번째 앨범에서는 그러한 기획력과 의외의 과격성 모두가 극단적으로 증폭 된, 매우 이상적인 발전을 보여 주었다. 밀레니엄 시대에 어울리는 키치한 밴드인 동시에, 그러한 밴드가 가지지 못했던 정통 익스트림 메탈적인 과격함과 그에 어울리는 후끈한 라이브는 뉴메탈 시대를 대변하는 동시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또 한번 만들어 냈으며, 무엇보다 데스메탈이라는 장르가 달성 할 수 없을것만 같았던 정당한 모양새의 혁신화의 성공은 굉장한 후폭풍을 만들어 내게 된다. 뉴메탈 세대가 다양한 과격 메탈을 듣게 만들었으며, 뉴메탈이라는 장르에 혐오와 분노를 가졌던 골수 메탈러들이 이쪽 방면에 관심을 기울이게 만들었으며, 무엇보다 이 시점을 기점으로 제대로 된 뉴메탈 밴드들이 메탈 밀레니엄에 가세하고, 다양한 밴드들과 어울리며 진정한 헤비니스의 흐름으로 인정 받는데 성공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돈과 명성, 음악적인 성과와 인정이 어우러진 유일무이한 케이스다. 컬트한 음악성과 비주얼 만큼이나 음악적 행보와 결과물도 남달랐다. 밀레니엄 헤비니스를 논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괴하고도 멋진 한편의 신화, 그 자체 되겠다.

Left Behind

 

65위 : Raunchy – Death Pop Romance (Lifeforce, 2006)
6590년대 초중반 혜성처럼 나타나서 다방면으로 엄청난 충격을 주었던 인더스티얼 메탈은 90년대 후반부터 아이콘 밴드들의 음악성 저하 및 그로 인한 한계성을 느끼고서 밴드들이 하나 둘 해산 해 나가며 서서히 시대의 저편으로 사라져 갔다. 그러나 2000년대 초에 들어서 미국과 유럽 등 다양한 국가에서 90년대 인더스트리얼 메탈의 계보를 이어 나가면서도, 지금까지의 고정관념과는 다른 새로운 스타일을 추구하는 범상찮은 신예들이 하나둘 튀어 나오며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그 중 가장 눈여겨 볼 밴드는 덴마크의 Raunchy 이다. 자세한 설명 필요없이 “Strapping Young Lad 짭” 으로 시작한 이 뻔뻔한 밴드는, 2번째 앨범 Confusion Bay 에서는 인더스트리얼 메탈과는 거리가 없지만, 일렉트로한 사운드의 뿌리라 할 수 있는 신스팝/테크노팝에서의 사운드적 효과와 캐치한 보컬라인의 구성을 적극적으로, 그리고 메탈이라는 음악에 어울리게 적용 시키며 가장 파격적이고 신선하게 인더스트리얼 메탈의 패러다임을 서서히 변화하기 시작했다. 3번째 앨범인 본작은 결정판 그 자체다. Depeche Mode 가 인더스트리얼 메탈을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신스팝 특유의 사운드 톤과 구성을 전면적으로 이용했지만, 메탈 음악에 감탄사가 나올 정도로 잘 결합 시켰다. 인더스트리얼 메탈의 계보를 잇는 밴드로 100점, Linkin Park 와 같이 파퓰러한 사운드로의 응용으로 따져서도 전혀 뒤지지 않는 (개인적으로는 훨씬 낫다고 생각된다) 결론을 만들어 내는데 성공했다. 밴드는 이 앨범을 통해 신쓰팝 뿐만 아니라, 신쓰팝과 연관 된 수많은 80 장르들을 메탈 음악에 끌어 당겼고 아주 파격적이지는 않지만 확실한 상승곡선을 그리며 승승장구 하고 있다. 그 시작인 Death Pop Romance 은 이들에게나, 인더스트리얼 메탈의 새 장을 여는 부분에서나 부족함이 없는 대단한 터닝 포인트라 할 수 있다.

Phantoms

 

64위 : Fucked Up – David Comes To Life (Matador, 2011)
642000년대 중반 들어서 파퓰러한 코드의 펑크/하드코어 음악들은 예상치도 못하게 프로그레시브 락적인 것들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이는 음악적으로는 물론이거니와 메시지 및 스토리텔링적으로도 커다란 변화를 이어가게 된다. 앨범마다 계속 이어지며 하나의 거대한 판타지/서사시적인 부분으로도 나아가기도 했고, 한가지 주제를 지닌 락 오페라적인 부분으로도 나아갔는데, 이러한 스케일 전쟁에서 (좋던 싫던) 최고의 자리를 차지하게 되는 앨범은 바로 본작이다. 멜로딕 하드코어 특유의 파퓰러함과 파워풀한 질주감, 락 오페라답게 적절히 화려하게 꾸민 전체적인 흐름을 전구를 만드는 공장의 노동자가 사회운동가 여성과 사랑에 빠지고, 그러면서 자신이 일하던 공장의 체제가 그릇된 것임을 깨닮고 폭탄으로 공장을 파괴하다가 사랑하던 이를 포함해 모든것을 잃고 몰락하고 망가지지만, 결국 이 모든것을 받아 들이고 이겨내고 공장으로 다시 돌아와 체제에 대한 순응과 반항을 동시에 가지고 진정한 삶을 살아간다는 임팩트한 스토리라인에 아주 멋지게 조화 해 낸 본작은 발표와 동시에 이 시대의 펑크 클래식으로 단숨에 올라서게 되었으며, 그해 최고의 앨범 중 하나로 쉴 새 없이 불려다기에 이르렀다. 펑크/하드코어 답지 않은 거대한 스케일과 진지한 주제를 지닌 락 오페라는 지금까지의 펑크/하드코어 커뮤니티 쪽에서는 달갑지 않은 평을 얻었지만, 힙스터라 불리우는 새로운 음악 지식인층에서는 새로운 시대를 대표하는 명작으로 끝없는 갈채를 받았다. 펑크락의 음악 지식인화의 이정표라는 점에서도 중요한 앨범 되겠으며, 이러한 면모가 꽤나 달갑지는 않지만 한번 정도는 경험해야만 하는 가치를 지닌 앨범이라는 점 역시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Queen Of Hearts

 

63위 : Heaven And Hell – The Devil You Know (Rhino, 2009)
63“모든 헤비함은 Black Sabbath 로 통한다” 라는 점은 2000년대에 있었던 파격적이고도 신선한 새로운 메탈의 밀레니엄에서도 절대적인 진리로 여전한 위용을 뽐냈다. 하지만 Ozzy 와 Tony 의 비즈니스적인 이견은 사이가 좋아졌어도 계속 되었고, 서로 따로 갈 수 밖에 없었다. 그러던 와중에 첫번째 결별에서도, 두번째 결별에서도 매우 감정의 골이 깊은 상태로 헤어졌던 Ronnie James Dio 가 다시 Tony, Geezer 에게 합류하여 라이브 활동을 가지는 놀라운 행보를 보였고, 이는 Heaven And Hell 라는 밴드로의 결성과 The Devil You Know 라는 앨범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Ronnie James Dio 시절의 Black Sabbath 스타일의 재탕 & 추억팔이로 예상 되었지만, 결과는 그것을 뒤집어 엎는 것이었다. Ozzy 시절의 어둡고 헤비한 사운드에 Dio 의 드라마틱한 보컬이 얹혀진, 격렬한 음악적 자존심 배틀이 있었던 과거사를 보면 절대로 나올 수 없었던 의외이자 이상적인 결과물이 나왔다. Dio 는 그가 지닌 명성다운 드라마틱 메탈 보컬의 극을 보여주었고, Tony 와 Geezer 는 Black Sabbath 하면 생각나는 레트로한 헤비함의 컬트함의 부활과 Dio 에 어울리는 드라마틱함을 동시에 만들어 냈으며, 2000년대에 어울리는 & 그 어떤 후배들에게 지지 않겠다는 독한 마인드가 느껴지는 현대적인 감각과 프로덕션에 집착하고 성공하는 모습까지도 보여 주었다. 이 앨범은 전설의 명성 증명이 아닌, 예전의 모든 명성의 랭킹을 바꾸려는 야심을 지닌 앨범일 정도의 위엄을 내뿜은 것이다. 당연히 엄청난 환호를 받았고, 진정한 존경심을 얻는데에도 성공했다. 하지만 아쉽게도 Dio 는 이 앨범을 마지막으로 운명을 달리하게 되며, 새로운 시작은 마지막 전설로 끝나고야 만다.

Bible Black

 

62위 : The Fall Of Troy – Doppelg?nger (Equal Vision, 2005)
622000년대 중후반 부터 시작 된 펑크/하드코어씬의 프록 메탈에 대한 관심과 접목은 꽤나 다양한 음악적/테마적인 새로움을 만들어 냈고, 심지어 많지는 않지만 테크닉적인 부분까지도 나아갔다. 그 중에서 가장 눈여겨 봐야만 하는 밴드는 펑크 & 프록 퓨전에 있어서 가장 괴상한 접목이었던 (이모 & 포스트 하드코어 & 프록) The Fall Of Troy 이다. 이모 팝펑크/기타팝적인 뼈대로 전체적으로 대중적인 흐름을 이어갔지만, 정신없이 손을 놀려대는 화려하고도 기괴한 연주는 기괴한 연주에 집착하던 몇몇 프록 밴드들의 그것을 이어가는 것이었다. 살짝 오버해서 “King Crimson & Robert Fripp 의 10대 펑크 키즈 버전” 이라고 평하는 재미와 보람이 있었고, 이 기괴한 연주는 매쓰코어/케이오틱 하드코어의 파퓰러한 어레인지로의 변화상으로도 이야기 할 수 있는 것으로 그쪽 방면에서도 꽤나 의미있는 족적을 남기는 앨범으로 평가 받았다. 허나 이들의 원 뿌리는 이모 기타팝이었고, 이에 대해 다이하드 하드코어 & 프록 팬들의 비난을 받으며 완벽한 인정을 받는데에는 부족하기도 했다. 허나 이들은 남들이 뭐라건간에 우리는 우리가 좋아하고, 옳다고 생각한 음악을 하고 그것에 만족한다는 대인배적인 마인드로 활동을 계속했고, 음악적으로 더 이상은 할 게 없다고 하다고 느끼지마자 쿨하게 해산했다. 이들의 활동은 호불호가 있었지만, 짦고 굵게 임팩트 했으며 누구나 인정 해야만 했다. 60년의 프록과 2000년대의 기괴하고 센스있는 펑크/하드코어를 잇는 기분좋은 기행의 시작이자, 최고조라 할 수 있는 본작은 말 그대로 마스터피스 되겠다.

F.C.P.R.E.M.I.X.

 

61위 : Crowbar – Lifesblood For The Downtrodden (Candlelight, 2005)
61둠/스토너/슬럿지 메탈 사운드가 예상치 못한 급격한 변화를 행하며 새로운 메탈 밀레니엄의 대세로 시작 해 나갔고, 이쪽 방면을 비롯해서 의외로 할 수 있는 하드코어 씬에서도 꽤나 많은 밴드들이 90년대 스토너/슬럿지 메탈의 아이콘인 Crowbar 를 언급했다. 하지만 Crowbar 는 90년대 중후반부터 음악적으로 서서히 내리막이었고, 심지어 밴드의 리더 Kirk Windstein 를 제외하고 계속 라인업이 바뀌며 음악적으로나 라이브 활동적으로나 우왕좌왕 하기까지 했다. 밴드는 2000년대 들어서 라인업을 재정비하고 계속 그 라인업을 유지 해 가자 앨범의 퀄리티가 회복되기 시작했는데, 그 중 최고 퀄리티의 재기를 보여 준 것이 바로 8번째 앨범인 본작이다. 느릿하고 끈적하며 텁텁한 헤비함, 리드미컬한 블루스 필링과 & 해드뱅에 어울리는 브레이크다운에 의한 메탈 헤비-그루브-해드뱅 감각, 걸걸하고 러프한 보컬까지 모두 Crowbar 의 그것이었고, 더욱 더 러프하면서도 캐치한 감각의 공존은 다양한 스타일의 각축장이었던 2000년대 메탈씬에서도 경쟁력 있는 한방으로 꽤나 위용을 뽐내는데 성공하게 된다. 2000년대 들어서 수많은 밴드들에게 들었던 Crowbar 에 대한 존경심에 대한 가장 멋진 화답이었고, 이러한 면모는 90년대 메탈 히어로 밴드들이 꽤나 보여주지 못한 부분이었기에 이 앨범의 가치와 위용은 더욱 빛났다. 왜 밴드의 리더 Kirk Windstein 이 다양한 2000년대 메탈/하드코어의 인플런스 창고이자 롤모델로 쉴 새 없이 불려 다녔는지는 과거에서만 찾는것이 아니게 되어 버리게 된 것이었다.

Slave No More

 

60위 : Immortal – Sons Of Northern Darkness (Nuclear Blast, 2002)
6090년대 초반부터 차원이 다른 음악적/사상적 과격성으로 새로운 익스트림 메탈의 장을 연 블랙메탈은 10여년의 시간동안 발전을 해 오며 메탈 역사의 근사한 한 획을 그었다. 그러나 이들도 사람이었던지라 결국 음악적 한계에 봉착했고, 파이오니어들은 하나 둘 최고의 자리에서 은퇴를 하기 시작했다. 그 영광스러운 은퇴 중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이 바로 본작이다. Immortal 은 그 어떤 밴드들보다 격렬하고 빠른 밴드로 기억되고 있지만, 그와 동등한 비율로 “빠르고 사악하기만 한 음악” 이라는 편견을 탈출하기 위한 어마어마한 노력을 해 온 밴드이자, 가장 뛰어난 결론을 내린 밴드라는 점은 그 누구도 부정하기 힘들 것이다. 그러한 노력이 최고점에 도달한 본작이자, 블랙메탈 파이오니어들이 노력한 멋진 마지막 중에서 유난히 빛나는 것이 본작이다. 격렬하고 사악한 패스트 블랙메탈의 전형적인 모든것과, 그 패스트 블랙메탈이 가지지 못하리라 생각했던 변화무쌍한 구성, 그에 어울리는 다양한 패턴과 굴곡있는 연주와 그를 바탕으로 한 다이내믹 하다 못해 서사시적인 스케일의 흐름까지 갖춘 본작은 그럴 평가를 받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 특히나 꽤나 캐치한 요소가 강했고, 그것을 발전 시키며 새로운 블랙메탈의 장을 열었던 심포닉 블랙메탈에 대한 패스트 블랙메탈측의 멋진 카운터로도 가장 뛰어난 한방을 행사했다는 점도 무시 할 수 없다. 빠르고 과격한 블랙메탈 이미지의 극과, 그 한계를 돌파하여 예상치 못한 음악이자 앞으로도 발전 할 수 있기에 주목 해야한다는 이미지를 남긴 명작 되겠다.

Sons Of Northern Darkness

 

59위 : The Bronx – S/T (1st Album) (Ferret Music/White Drugs, 2003)
592000년대 펑크/하드코어씬의 특징 중 하나인 고전 락앤롤/하드락에 대한 관심과 접목은 메이저 바닥에서의 성공까지는 거두지 못했으나 반드시 체크하고 넘어가야 할 정도로 굉장한 임팩트를 지닌 밴드들의 대거 등장을 보여 주었는데, 그 중 최고는 1초의 고민도 없이 The Bronx 가 되겠다. 80 하드코어 펑크와 다양한 락앤롤과의 접목, 그리고 그 두 장르가 지닌 공통분모 중에서도 무엇보다도 스피드와 에너지 폭발에 집착하는 모습은 매우 굉장했다. 음악적인 개성도 굉장했지만, 무엇보다도 컬트한 느낌의 B급 락앤롤적인 강렬한 맛을 근간으로 만들어지는 “음악적 평가를 무디게 만드는 락앤롤 카타르시스의 그것” 은 더욱 더 굉장했다. Black Flag, Misfits, Motorhead, Guns N Roses 와 같은 것들의 대융합 및 자기화는 등장과 동시에 이 시대의 클래식이 되었고, 상업적인 매력은 없음에도 불구하고 바로 메이저 레이블과의 딜을 따 내는데 성공하기도 했다. 메이저에서의 적응은 실패로 끝났지만, 이들은 차후의 앨범들을 통해 계속해서 컬트한 재미의 락앤롤 & 하드코어 펑크락의 하이브리드의 독창적 묘미를 계속 보여주었고 그 누구도 딴지를 걸 수 없을 정도로 2000년대 헤비니스 클래식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그리고 그 어떤 음반보다 거침없이 갈겨 제낀 본작은 최고작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False Alarm

 

58위 : Ghost – Opus Eponymous (Rise Above, 2010)
58많은 밴드들이 모든 메탈의 시작점인 Black Sabbath 에 대한 성지순례를 해 왔고, 지금도 해오고 있다는건 모두가 다 아는 이야기다. 50여년이라는 시간동안 해 왔기에 그러한 재해석과 자기화는 90% 이상 예상이 되는 것이었다. Ghost 역시 그러한 밴드지만, 최종 결론만큼은 절대로 예상치 못한 신선함을 보여주었다. Black Sabbath 보다도 더 예전에 존재하는 밴드가 아니었을까 착각을 불러 일으킬 정도로 레트로보다 더 한 레트로함의 극을 시도했고, 블루스-하드락을 넘어서 고전 스탠다드팝이나 클래식 음악과의 공통분모적 느낌까지도 자아냈으며, 무엇보다 악마교 교주와 그를 따르는 암흑의 사제라는 허를 찌르는듯한 비주얼 컨셉과의 믹스쳐로 탄생 된 중세적 이미지는 한마디로 굉장했다. 극단적인 구닥다리함으로 탄생되는 극단적인 최첨단적 캐릭터로의 아우라는 이들의 신선한 장점 중에서도 최고인 부분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놀라운 점은 이 앨범이 데뷔작이라는 점이다. 밴드는 단숨에 메탈음악 및 사타니즘 이용에 있어서 새로운 급진주의자의 아이콘이 되었고, 메이저 데뷔 & 미국 시장 침공을 놀랄만한 페이스로 차근차근 행하고 있는 중이다. 2000년대에 수많은 패러다임 시프트가 있었지만, 이 앨범은 가장 최근에, 그리고 가장 오금이 저릴 정도로 새롭게 행하고 있는 밴드 되겠다. 가장 최근의 흐름부터 역행하며 살펴 본다면 이 작품은 1순위가 되겠다.

Ritual

 

57위 : Kvelertak – S/T (Indie Recordings, 2010)
5790년대부터 시작 된 메탈, 펑크/하드코어의 새로운 방향성 추구, 서로간의 믹스쳐로 인한 돌연변이화는 2010년 들어서 소강상태를 보였다. 할 수 있는 만큼 음악적 시도를 다 했고, 더 이상의 아이디어 창출이 되지가 않는게 맞는 이야기였기 때문이다. 10년이나 쉴 새 없이 행해 왔으니 당연한 것이다. 그때 아무도 예상치 못한 장소에서, 아무도 예상치 못한 충격적인 방법론이 등장했다. 단 한장의 앨범, 그것도 데뷔작으로 말이다. 바로 Kvelertak 이다. 노르웨이에서 등장한 이 밴드는 락앤롤, 블루스, 하드락, 하드코어 펑크, 스칸디나비아 익스트림 메탈을 한방에, 그리고 매우 놀라운 퀄리티와 배합/배치 능력으로 섞어냈고, 앞서 말한 바 있는 굵직한 장르들 안에 존재하는 세부 스타일 (2000년대식 하드코어 펑크 + 락앤롤 믹스쳐, 언홀리 하드코어, 블랙 메탈과 바이킹 메탈의 2000년대 발전상의 모든것, 스칸디나비아 익스트림 메탈과 메탈릭 하드코어 펑크와의 결합 및 돌연변이화 등 수많은 것들!) 의 모든것들을 디테일하게 표현하기도 했다. 이 야심찬 사운드가 그저 자국내 데뷔를 위한 것었다는 사실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놀라운 사운드에 놀란 수많은 평단과 매니아들이 쉴 새 없이 SNS 를 근간으로 한 입소문을 내면서 배급망의 문제를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그 한해에 최고의 앨범으로 등극하게 되는 기현상을 낳았다는 점 또한 너무나도 임팩트했다. 이러한 기현상은 과격함과 새로움과 컬트한 묘미로 점철 된 새롭디 새로운 온갖 과격/터프 장르의 기가막힌 융합에서 비롯 되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적응하고, 예상 할 수 있었던 2010년에 말이다. 최근에 등장한 앨범 중 가장 충격적인 방법론을 자랑하는, 절대적인 올타임 마스터피스가 될 수 밖에 없는 작품 되겠다.

Mjød

 

56위 : Hypocrisy – Virus (Nuclear Blast , 2005)
56미국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형식의 메탈 및 하드코어, 그리고 그 둘의 하이브리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참고서로 맹활약을 펼친 스칸디나비아 메탈/멜로딕 데스메탈은 2000년대 미국 메탈의 성장과 더불어 미국 시장에 입성 및 인정받기에 성공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그러한 밴드들은 지금까지의 멜로딕 데스메탈의 고정관념을 뒤집는 모던한 변화와 발전을 보여주며 더욱 더 상업적/음악적 성공 모두 멋지게 거머쥐게 된다. 그렇게 되자 피해자가 하나 발생하게 된다. 바로 Hypocrisy 이다. 이들은 90년대 초중반부터 데스메탈의 파격적 모던화/SF화에 있어서 그 어떤 밴드들보다 앞장섰고, 음악적 결과와 평론단과 팬들의 호의적인 피드백 또한 엄청났던 그 밴드 말이다. 그들은 앞서갔던 밴드였지만 메탈 밀레니엄을 이야기 하는데 있어서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였다. 스포트라이트를 기가 막히게 뺏긴 것이었다. 하지만 이들은 음악적인 부분만큼은 절대 지지 않는 모습을 계속 보여줬다. 혁신적인 사운드의 수많은 미국 메탈/하드코어 & 하이브리드 헤비니스 및 예상치 못하는 레벨까지 진화 해 나가는 멜로딕 데스메탈의 아이콘들에게 전혀 뒤지지 않는 혁신적인 익스트림 메탈을 계속 만들어 냈다는 점이 바로 그 증거다. 그것도 더 이상 새로운 것을 보여 줄 수 없었던 “중후반기 특유의 자기 스타일의 복제시기” 에 말이다. 10번째 풀렝스 앨범인 본작은 여러모로 가장 멋진 결과물이다. 9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SF 호러적 테마에 어울리는 미드-슬로우 템포를 근간으로 한 미래 지향적 데스메탈에서, 미드-슬로우 템포를 빼고 쉴 새 없이 밀어 붙이는 스칸디나비아 익스트림 메탈 특유의 과격한 묘미를 밀어 붙이며 파괴적인 재미와 모던한 혁신성을 동시에 거머쥐었고 (이 앨범을 기점으로 드럼 자리에 Immortal 의 Horgh 가 가입되어 그 맛을 극대화 해 준건 신의 한수인듯 싶다), 이는 그 어떤 밴드들보다 먼저 모던한 변화를 감행하고 성공했던 파이오니어중의 파이오니어가 달라도 얼마나 다른지 제대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Hypocrisy 는 지금도 메탈 밀레니엄을 빛낸 밴드로 그리 많이 불러 다니지는 못한다. 하지만 이 앨범을 통해 모든 이들에게 “그래도 Hypocrisy 는 잊어선 안되지” 하는 분위기를 만들어 낸것도 사실이다. 이들 역사에 꽤나 중요한 한장 되겠다. 그저 과격해서 새로웠던건 아니라는 점 또한 체크 해 두자.

War-Path

 

55위 : Soilwork – Figure Number Five (Nuclear Blast, 2003)
55Soilwork 는 멜로딕 데스메탈씬의 후발주자이자 어린 밴드였지만, 앨범의 장수가 한장 한장 쌓여 나갈 때마다 엄청난 발전을 보여줬으며 2000년대 중반부터는 선배 밴드들의 왕좌를 노릴 정도로 최강의 밴드가 되어 버린 괴물같은 밴드였다. In Flames 의 멜로딕한 부분을 강조하는 센스도 강했고, The Crown 과 같은 익스트림한 부분을 강조하는 센스도 엄청났다. 게다가 멜로딕 데스메탈 파이오니어들이 행한 모던함의 시도 (곡 제조, 연주패턴, 프로듀스 등 모든 부분에서!) 역시 빠르게 행했고, 결과도 엄청났다. 막말로 이들에게 음악적, 평가적, 인기적으로 추월 당하지 않은 밴드인 In Flames 뿐이었다. 한마디로 적수가 없었다. 그러한 괴물같은 면모의 집대성이 바로 이 앨범이다. 전통적인 멜로딕 데스메탈의 모든것부터, 몇 수를 앞서서 내다보고 행한 모던한 데스메탈의 모든것까지 완벽했다. 그리고 마침 제대로 분위기를 탄 메탈 밀레니엄 분위기를 타고 미국 시장 상륙과 안착에 성공하기도 했다. 그리고 이러한 미국 시장 진출을 1-2위를 다툴 정도로 매우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해 냈다는 점도 중요하다. 밴드의 최고 앨범인 동시에, 메탈 밀레니엄의 최고 앨범, 멜로딕 데스메탈의 새로운 시대를 연 앨범이자 최고 앨범중에 한장인, 한마디로 괴물 앨범 되겠다.

Rejection Role

 

54위 : Animals As Leaders – S/T (Prosthetic, 2009)
54수많은 2000년대 메탈, 하드코어, 메탈/하드코어 크로스오버 사운드들은 은근히 기타 테크닉 발휘에 대해 엄청난 관심을 앨범에 아낌없이 표출했다는 점은 그리 찾기 어려운 것은 아니다. 그렇게 기타 테크닉에 대한 관심이 서서히 짙어지자 노린듯이 나타난 밴드가 이들어었다. Meshuggah 로부터 시작된 크로스오버 익스트림 프록 메탈을 뼈대로 하여, 깔끔하고 심플한 멜로디와 현란미와 혼돈미를 동시에 지닌 화려망측한 손놀림이 제대로 뒤엉킨 본작은 수많은 2000년대 메탈의 모든것을 정의하는, 그러면서도 앞으로 구현 될 메탈 기타테크에 대한 청사진을 제공하는 진보성을 가진 굉장한 사운드를 보여 주었다. 그 뿐만이 아니다. 그런지 폭발과 함께 자취를 감춘 기타 비루투오조에 대한 관심의 조심스러운 부활의 불씨에 기름을 한 드럼 부은것이 이 앨범이라는 점도 중요하다. 하드락/헤비메탈 중심이 아니라 수많은 메탈 및 다양한 비-메탈 장르들의 융합체 중심이라는 것만 다를 뿐이었다. 이 앨범으로 인해 다시금 기타 테크닉과 장비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고, 좋은 결과물이 탄생하고 있다는 점 역시 무시 할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Djent 같은거 말이다. 그와 동시에 Meshuggah 에 대한 미국 밀레니엄 메탈씬에 대한 가장 신선한 응답이었다는 것 역시 언급하고 싶다.

CAFO

 

53위 : Torche – Meanderthal (Hydra Head, 2008)
532000년대 들어서 둠/스토너/슬럿지 메탈의 다양한 장르적 어프로치에 의한 응용/변화는 블랙메탈이나 데스메탈과 같이 매우 골수적인 사운드의 대명사와도 같은 분위기를 완화 시키며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Torche 는 그러한 움직을 보여준 밴드들 중 좀 늦게 등장했지만, 본작을 통해 다소 정형화 되어가던 새로운 패러다임을 한번 더 새롭게 만든 중요한 밴드였다. 슬럿지/스토너 특유의 퍼즈-헤비의 모든것은 당연히 보여주고 있고, 이쪽 장르답지 않은 빠르고 다이내믹한 흐름과 고전 락앤롤/기타팝 센스를 섞었으며, 심지어 The Jesus Lizard, Unsane 과 같은 얼터너티브 시대적인 노이즈-헤비락, 6-70년대 사이키델릭, 스페이스락적인 묘미까지 적절히 가미하며 자신들만의 색채를 강하게 다져 나갔다. 그로인해 만들어진 컬트함은 매우 기발했다. 새로운 둠/스토너/슬럿지들이 첨가물로 들어간 장르화 되어가던 것에 비해 (주로 프록화 되었었음), 이들은 이해 할 수 있지만 정의하기 힘들게 불가사의한 밴드로 인식되며 매우 신선한 임팩트를 남겼기 때문이었다. 예상을 벗어나는, 허를 찌르는 2000년대 스토너 메탈 명작 되겠다.

Across The Shields

 

52위 : Strapping Young Lad – The New Black (Century Media, 2006)
5290년대 등장하여 충격을 남긴 인더스트리얼 메탈러들보다 더욱 과격했고, 과격하다 못해 극단적임의 한계에 도전했으며, 그에 걸맞는 괴물같은 테크닉과 혁신적인 미래상을 선보였던 SYL 은 당연히 2000년대 헤비니스 전반을 논하는데 절대로 빠질 수 없는 최고의 밴드였다. 하지만 밴드는 90년대에 발표한 앨범 City (1996) 을 음악적으로 넘지 못했고, 그 스타일에서 벗어나려 해도 결국 발목이 잡혀버리는 약점을 표출하게 되며 확실한 한방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리더인 Devin Townsend 는 자신의 좌절과 분노를 담은 이 프로젝트가 가정을 꾸리며 생긴 안정감 덕택에 예전같이 않음을 깨닮았고, 화끈하게 자신이 하고 싶은 유머러스한 메탈적 장난질이자 SYL 이라는 밴드에 어울리는 죠크를 이 앨범에 담고 시원스레 그만두기로 마음 먹었다. 그때다. 그때 SYL 의 한계가 돌파 되었다. 적절한 음악적 죠크가 극단적인 인더스트리얼 메탈에 결합되며 재미와 과격함이 겸비된, 그와 동시에 매우 다양한 색채를 자랑하는 곡들이 탄생 되었고 그렇게 SYL 은 음악적 한계 돌파와 대미의 화려한 장식을 동시에 성공하게 된다. 밴드 내부적으로만 중요하지 않다는 점도 중요하다. 유머러스함과 과격함의 절묘한 비율을 맞춘 이 앨범의 색채가 다소 경직되고 정형화 된 인더스트리얼 메탈씬 전체의 매너리즘을 제대로 붕괴 시켰기에 그러하다. 내외적으로 완벽하게 의미있는 앨범 되겠다. 약간 병신 같지만… 그래도 멋있고, 최고다.

Wrong Side

 

51위 : Gallows – Grey Britain (Warner Music, 2009)
5190-2000년대 영국의 락 음악이 모던락/브릿팝이 전부라고 누구나 생각하게 될 무렵, 이런저런 미국적 헤비니스 밴드들이 등장하며 매우 임팩트한 흐름을 만들어 냈는데, 그 중에서도 Gallows 의 존재는 유난히도 엄청난 존재였다. 90-2000년대 영국 헤비니스 흐름이 다소 대중지향적 헤비니스인 뉴메탈, 메탈코어 스타일었다면 Gallows 는 Black Flag 의 피를 이어받은, 그것을 현대적으로 개조하여 매우 광기어린 격렬함을 선보이는데 미친, 한마디로 미치광이 그 자체였기 때문이다. 데뷔작 Orchestra Of Wolves (2006) 는 영국뿐만 아니라, 미국 시장에도 선보이며 꽤 강한 충격을 선사했고 (이 앨범을 미국에 라센한 Epitaph 의 사장 Brett Gurewitz 는 이들을 극찬했다!), 단 한장만에 밴드는 억대의 스카웃 제의를 받고 메이저 레이블 Warner 로 이적하는 눈부신 쾌거를 달성하게 된다. 그렇게 나온 2번째 앨범인 본작은 Gallows 의 과격한 매력이 업그레이드, 아니 극을 향해 달려가는 앨범이다. 정통 하드코어 펑크와 2000년대 모던 헤비니스적인 어프로치의 예상범위 이상의 과격성을 지닌 만남, 그러면서도 앨범 전체를 휘어잡는 극영화적인 스케일, 데뷔작때도 존재했지만 2번째 앨범에서 제대로 터지는 70년대 펑크 음악에나 있을법한 영국 노동자 계급적인 분노의 카리스마까지 완벽했다. 허나 이 앨범은 기대와 달리 상업적인 요소가 너무 적었고 결국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레이블과의 결별로 이어지며 이 앨범의 야심찬 광기는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하지만 영국 펑크 특유의 계급적 분노의 모던화 & 극단화를 보여주며 엄청난 호평을 얻은것도 사실이었다. 설레발 좀 더해서 Sex Pistols 이후 최고라고 말하고 싶을 정도였다.

I Dread The Night

[50위 – 26위] – 보러가기

- Mike Villain